[새 총리 문창극 지명] 후속 인사 어떻게 되나… 先 靑 개편- 後 개각 ‘유력’

입력 2014-06-11 02:31
이제 남은 것은 청와대 개편과 개각이다. 현재로선 선(先) 청와대 개편, 후(後) 개각이 유력하다. 청와대에서 물러나 입각하는 참모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16∼21일로 예정된 박근혜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순방이 인적쇄신 시점의 변수다. 순방 이전에 청와대 개편이나 개각이 이뤄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하지만 순방 직후 인적쇄신을 단행할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박 대통령이 10일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를 주재하면서 한 발언은 이를 뒷받침한다. 박 대통령은 “순방기간 중에 우리 공직자 모두가 각자의 역할을 잘해 주기 바란다”면서 “국무위원들께서도 국정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최선을 다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 발언이 알려지자 순방 때까지는 개각이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힘을 얻었다.

우선 청와대 참모진 개편은 박 대통령 순방 직후 단행될 가능성이 크다. 김기춘 비서실장은 유임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박 대통령의 복심이었던 이정현 전 홍보수석이 물러나면서 수석 중 누구도 교체 대상에서 예외가 아니라는 얘기가 돌고 있다. 청와대 원년 멤버인 유민봉 국정기획수석, 조원동 경제수석, 주철기 외교안보수석, 모철민 교육문화수석 중 일부는 교체되거나 내각에 기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홍경식 민정수석과 박준우 정무수석의 거취도 지켜봐야 할 대목이다.

개각 역시 순방 이후 시점이 유력하다. 개각 폭은 중폭 정도로 예상된다. 6∼8개 부처의 장관이 교체될 것이라는 얘기다. 세월호 참사 책임론에서 자유롭지 못한 안전행정부 장관, 교육부 장관의 교체는 기정사실화된 분위기다. 해양수산부 장관의 경우 처음에는 경질이 유력했으나 유임될 수 있다는 얘기가 솔솔 나오고 있다. 경제 라인도 전면 교체에 힘이 실린다. 외교부 통일부 등 외교안보팀도 개편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관측된다. 이 밖에 업무 능력에 문제점이 드러난 일부 부처 장관 경질설도 있다.

이번 개각에 정무감각과 부처 장악력이 뛰어난 의원 2∼3명이 입각할 것이라는 전망이 끊이지 않는다. 친박(친박근혜) 핵심 최경환 의원은 경제부총리와 새로 생길 국가안전처 장관 물망에 올라 있다. 이한구 의원도 경제부총리 유력 후보다.

국무총리의 각료제청권 행사도 재미있는 포인트다. 문창극 총리 후보자가 제청권을 행사하려면 국회 인사청문회 통과 이후 시점인 다음달 초까지 기다려야 한다. 그래서 정홍원 현 총리와 문 후보자가 협의하는 방식을 거친 뒤 정 총리가 제청권을 행사하는 ‘절충형’ 방식이 시도될 가능성이 크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