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 인천, 경기도를 잇는 수도권 직행좌석버스는 하루 1629대가 운행되고 있다.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덕에 정류장이 적고, 상대적으로 빠른 이동시간 때문에 수도권 거주자들의 주요 출퇴근 수단이다. 그러나 이용하려는 사람은 많고 차량대수는 한정돼 있다보니 입석은 다반사였다. 10년이 넘도록 이 버스는 입석 승객을 태우고 고속도로를 시속 100㎞ 가까이 달렸다. 우리 사회의 대표적 안전불감증 사례였다. 세월호 참사가 터진 일주일 뒤인 지난 4월 23일부터 안전을 이유로 입석 승차를 막았다. 시민들의 불만은 폭발했다.
주무부처인 국토교통부는 10일 해당 3개 지방자치단체와 협의를 거쳐 이 문제를 해결할 임시대책을 내놨다. 다음 달 중순부터 62개 노선에 버스 222대를 더 투입하는 것이 주 내용이다. 추가 투입차량은 출퇴근 시간인 오전 6시∼8시30분, 오후 6시30분∼9시에만 운행된다. 국토부는 추가 투입 후 한 달간의 계도기간을 거쳐 8월 중순부터는 고속도로의 입석버스 단속도 시행키로 했다.
그러나 근본 해결책은 될 수 없다는 지적이다. 국토부도 임시대책임을 인정하고 있다. 현재 직행좌석버스 정원초과율은 최대 40%에 이른다. 43명 정원 버스에 60명이 타고 가는 셈이다. 출근 시간 버스 이용자는 하루 평균 11만명이나 된다. 여기에 증차된 만큼 지하철 등 다른 교통수단을 이용하던 사람들이 직행좌석버스로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근본적 해결방법은 이론상 단순하다. 이 노선을 운영하는 운수회사의 만성적 적자구조를 요금인상이나 재정지원을 통해 메워주면 된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못했다. 관련 이해당사자의 견해가 첨예하게 대립했기 때문이다. 적자를 이유로 노선을 늘리지 않고 있는 운수회사와 편리하긴 하지만 요금을 추가 부담할 수 없다는 이용자가 있었다. 여기에 열악한 재정 사정상 요금을 인상해야 하지만 지자체장들이 향후 선거에서 표가 떨어질까 두려워 눈치만 보며 근본 대책을 꺼려왔다.
정부는 이번 임시대책을 시작으로 근본적 해결방안을 모색키로 했다. 맹성규 국토부 교통물류실장은 “이번 조치는 한시적인 것으로 지자체의 운임 조정을 통해 정상적으로 버스 공급을 늘리고 중장기적으로 2층버스 도입, 환승 시스템 정비 등 근본적 해결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울시 등 3개 지자체도 증차 비용을 산정해 요금을 올려주거나 요금인상 없이 재정지원을 통해 이를 해결하겠다고 약속했다.
세종=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
수도권 직행버스 7월 222대 증차… 8월 중순 입석 단속 대책
입력 2014-06-11 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