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제주에 이어 부산에서 당선된 새누리당 광역단체장들이 국민통합을 내세워 사실상 지방정부 연정을 내건 것과 관련해 새정치민주연합에선 기대감과 동시에 '정치 쇼'라는 혹평이 뒤섞여 나오고 있다. 새정치연합 경기도당은 "자리보다는 정책 합의가 먼저"라며 "하려면 제대로 하라"고 촉구했다. 특히 "지방정부가 아니라 중앙정부가 해야 할 일"이라며 박근혜정부의 소통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쏟아졌다.
당 지도부는 9일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통해 이 문제를 논의한 뒤 "각 시·도당이 신중히 결정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찬성하는 최고위원들은 "국민의 눈높이에서 볼 때 통합과 지방정부의 발전에 동참하는 게 옳다"는 의견을 냈다. 반면 "국가위기 상황에서는 초당적인 협력이 맞지만, (지금은) 정책과 노선이 다르다"며 반대하는 의견도 있었다고 참석자들은 전했다.
김태년 경기도당 위원장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야당에 선심을 쓰듯이 자리 1∼2개만 주려 한다면 부지사 제안을 받을 수 없다"며 "일자리·보육·교육·복지 등에 대한 정책 합의를 먼저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연정을 하려면 제대로 해야지 이대로라면 '도의회 대응용'으로 해석될 뿐"이라고 덧붙였다.
중진의원들 생각도 제각각이다. 3선의 박기춘 의원은 "큰 변화가 있을 수 있다"며 적극 찬성했다. 박 의원은 "예전에는 정무장관에 야당을 임명한 적도 있었다"며 "1970년대식 사고에 머물러 있는 현 청와대와는 다른 시도"라고 말했다.
그러나 중앙정부가 야당 인사를 행정부처 장관으로 임명한다면 집행권한을 함께 주기 때문에 의미가 크지만 실권이 없는 경기도 정무부지사는 차원이 다르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경기도를 지역구로 둔 다른 3선 의원은 "뜻은 좋지만 효과가 의심스럽다"며 "허수아비 부지사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겉으로 드러난 뜻이 좋아 보이지만 결국엔 남경필 경기도지사 당선자와 원희룡 제주도지사 당선자의 '대권 행보용'이라는 의구심도 많다. 새정치연합 제주도당은 "협치를 가장한 야합"이라며 "정치 쇼를 중단하라"고 비판했다. 그렇다고 여당 도지사 당선자들의 제안을 뿌리칠 경우 "통합을 발목 잡는 야당"이라는 비판을 받을 수 있어 고민이다. 같은 당 권선택 대전시장 당선자가 새누리당 박성효 전 후보에게 비슷한 제안을 하고 있는 것도 감안하지 않을 수 없다. 새누리당 비대위원인 조해진 의원은 "국민들은 여야가 정쟁을 버리고 당적을 초월해서 힘을 모으길 바란다고 생각한다"며 "(지방정부 연정 시도에 대한) 진정성이 통해서 국민이 바라는 지자체 운영이 이뤄졌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
野 ‘연정’에 엇갈린 반응… “자리보다 정책 합의” 촉구도
입력 2014-06-10 0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