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이 1010원대 중반으로 급락했다. 경상수지 흑자 행진과 밀려드는 외국인 매수세 등으로 환율이 가파르게 하락하면서 외환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원화 강세 지속으로 환율이 연내 1000원까지 떨어지고, 내년 초에는 세자릿 수에 진입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4.3원 떨어진 1016.2원에 거래를 마쳤다. 원·달러 환율이 종가 기준으로 1020원 선 아래로 떨어진 것은 2008년 8월 이후 5년10개월 만이다.
전문가들은 지난 5일(현지시간) 유럽중앙은행(ECB)이 내놓은 기준금리 인하, 마이너스 예금금리 등 경기부양책이 신흥국 통화의 강세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여기에다 경상수지 흑자가 26개월째 계속되고, 외국인의 국내 주식·채권 매입으로 자본수지의 흑자 폭이 커지면서 달러화가 넘쳐나는 상황이다. 시장에는 환율이 더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퍼지면서 달러를 사려는 수입업체들이 결제를 미루는 등 쏠림 조짐마저 나타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모건스탠리는 3분기 원·달러 환율 전망치를 기존 1125원에서 1020원으로, 4분기 전망치는 1125원에서 1000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이어 내년 1분기와 2분기에는 환율 전망치를 각각 980원과 960원으로 낮춰 잡았다. 모건스탠리는 보고서에서 “세계 각국 중앙은행과 국부펀드로부터 양질의 외국 자금이 한국에 꾸준히 유입되면서 구조적인 원화 강세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도 원화 강세 기조가 지속될 것이라는 데에는 전문가들 사이에 이견이 없다. 다만 외환 당국의 환율 안정 의지가 강하기 때문에 원·달러 환율이 이른 시일 안에 세 자릿수로 떨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환율이 급격히 하락할 경우 수출업체들이 큰 타격을 입기 때문에 외환 당국의 미세조정(스무딩 오퍼레이션) 등 시장 개입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김재중 박은애 기자 jjkim@kmib.co.kr
ECB發 금리인하 강풍에 환율 ‘낙엽’… 5년10개월만에 최저
입력 2014-06-10 0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