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기대” “정치쇼” 엇갈린 반응… 새정치연합이 보는 ‘지방發 연정 움직임’

입력 2014-06-10 02:28
경기·제주에 이어 부산에서 당선된 새누리당 광역단체장들이 국민통합을 내세워 사실상 지방정부 연정을 내건 것과 관련해 새정치민주연합에선 기대감과 동시에 ‘정치 쇼’라는 혹평이 뒤섞여 나오고 있다. 아직 진정성을 평가하기엔 이르니 지켜보자는 분위기도 강하다. 특히 “지방정부가 아니라 중앙정부가 해야 할 일”이라며 박근혜정부의 소통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쏟아졌다.

당 지도부는 9일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통해 이 문제를 논의한 뒤 “각 시·도당이 신중히 결정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다만 책임정치라는 측면에서 선거를 통해 경쟁했던 후보가 상대방이 당선된 새 지방정부에 참여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한다.

당 지도부 관계자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최고위원들 사이에서 찬반 의견이 엇갈렸다”며 “찬반 사유를 가감 없이 시·도당에 전달했고, 시·도당이 최종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찬성하는 최고위원들은 “국민의 눈높이에서 볼 때 통합과 지방정부의 발전에 동참하는 게 옳다”는 의견을 냈다. 반면 “국가위기 상황에서는 초당적인 협력이 맞지만, (지금은) 정책과 노선이 다르다”며 반대하는 의견도 있었다고 참석자들은 전했다.

당내 의견도 엇갈린다. 겉으로 드러난 뜻이 좋아 보이지만 결국엔 남경필 경기도지사·원희룡 제주도지사 당선자의 ‘대권 행보용’이라는 의구심이 많다. 새정치연합 제주도당은 “협치를 가장한 야합”이라며 “정치 쇼를 중단하라”고 비판했다. 그렇다고 여당 도지사 당선자들의 제안을 뿌리칠 경우 “통합을 발목 잡는 야당”이라는 비판을 받을 수 있어 고민이다. 같은 당 권선택 대전시장 당선자가 새누리당 박성효 전 후보에게 비슷한 제안을 하고 있는 것도 감안하지 않을 수 없다.

중진의원들의 생각은 제각각이다. 3선의 박기춘 의원은 “큰 변화가 있을 수 있다”며 적극 찬성했다. 박 의원은 “예전에는 정무장관에 야당을 임명한 적도 있었다”며 “1970년대식 사고에 머물러 있는 현 청와대와는 다른 시도”라고 말했다.

반면 중앙정부가 야당 인사를 행정부처 장관으로 임명한다면 집행권한을 함께 주기 때문에 의미가 크지만 실권이 없는 경기도 정무부지사는 차원이 다르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경기도를 지역구로 둔 다른 3선 의원은 “뜻은 좋지만 효과가 의심스럽다”며 “구체적으로 논의를 해봐야겠지만 허수아비 부지사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야당 부지사가 임명되더라도 실제로는 통합 정부와는 거리가 멀다는 뜻이다. 재선에 성공한 새정치연합 소속 한 도지사 당선자 측 관계자도 “여당 출신 부지사 임명은 실제로 그리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며 중립적인 입장을 보였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