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격전 광역자치단체 8곳 분석해보니… 여야 2곳씩 ‘광역·기초단체장-광역의회’ 장악

입력 2014-06-09 04:27

6·4지방선거의 주요 격전지였던 서울 등 광역자치단체 8곳을 분석한 결과 여야가 각각 두 곳씩 광역단체장·기초단체장·광역의회를 석권한 것으로 8일 나타났다. 그러나 다른 4곳은 광역단체장과 기초단체장 및 광역의회 승자가 달라 상호 견제 또는 충돌이 예상된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서울과 대전에서 광역단체장·기초단체장·광역의회 선거를 모두 이기는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 실제로 이번 선거의 특징 중 하나는 서울과 대전의 야당 성향이 공고해진 점이었다. 새정치연합은 박원순 시장을 당선시킨 데 이어 구청장 25명 중 20명, 비례대표를 포함한 광역의원 106명 중 77명을 당선시켰다. 대전은 권선택 시장을 당선시켰고, 구청장 5명 중 4명, 광역의원 22명 중 16명을 배출했다.

새누리당은 부산과 인천에서 트리플 크라운을 이뤘다. 부산은 전통적인 여당 텃밭이지만 세월호 참사 이후 무소속 바람이 워낙 강했고, 서병수 부산시장 당선자는 1.31% 포인트 차로 겨우 신승했다. 기장군수를 무소속에 내주긴 했으나 구청장 15명을 당선시켰고, 광역의회 42석을 싹쓸이했다. 영화 ‘변호인’에서 돼지국밥집 아들의 실재 인물이었던 새정치연합 송병곤 후보는 관심을 끌었지만 여당 후보에 졌다.

인천 역시 새누리당이 석권했다. 유정복 전 장관이 인천시장에 당선된 것을 시작으로 기초단체장 10명 중 6명을 배출했다. 2010년 지방선거에서 기초단체장 1명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큰 변화다. 또 광역의회는 새누리당 23명, 새정치연합 12명을 기록해 야당이 다수당을 기록했던 4년 전과 권력구도도 바뀌었다.

개표 당일 손에 땀을 쥐게 했던 경기·강원·충남·충북은 광역단체장과 광역의회가 여야로 갈라졌다. 합리적인 상호 견제와 협조가 없다면 공약이행 및 지방정부 운영에서 차질이 불가피하다.

경기도는 새누리당 남경필 전 의원이 도지사에 당선됐으나 광역의회는 새정치연합이 78석, 새누리당이 50석을 각각 얻었다. 여당 도지사와 야당 의회가 충돌할 수 있다. 기초단체장의 경우도 새정치연합이 17명을 배출한 반면 새누리당은 13명에 그쳤다. 무소속은 가평군수 1명이 나왔다.

그러나 강원도와 충남·충북은 반대다. 새정치연합 소속 최문순·안희정, 이시종 당선자가 재선에 성공했다. 하지만 기초단체장 및 광역의회 선거에서는 모두 새누리당이 이겼다. 충남의 경우 기초단체장은 새누리당 9명, 새정치연합 5명이고, 비례대표를 포함한 광역의회는 새누리당이 30명, 새정치연합 10명이었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