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에 의해 강제 동원됐던 피해자를 지원하는 공익재단이 공식 출범했다.
안전행정부와 국무총리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는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하 재단)이 정부로부터 설립 허가를 받아 정식 출범했다고 8일 밝혔다.
임기 2년인 이사장은 김용봉 인제대 의대 교수가 맡았다. 최봉태 대한변협 일제피해자특별위원장, 선태수 일제강제연행한국생존자협회 회장 등 총 12명의 이사가 선임됐다. 첫 이사회는 오는 17일 열릴 예정이다. 재단 사무실은 서울 종로구 수송동 이마빌딩에 마련됐다.
재단은 일제 강제동원 피해 희생자와 유족에 대한 복지 지원, 문화·학술사업, 희생자 추도·위령, 유해발굴·봉환, 역사기념관 건립 사업 등을 수행한다.
재단 기금은 정부와 민간기업이 출연한다. 출범 첫해인 올해 재단에는 정부 예산 30억3000만원과 포스코가 3년에 걸쳐 출연하기로 약정한 100억원 중 1차분 30억원이 배정됐다.
재단은 당분간 한국도로공사나 한국전력 등 1965년 한일청구권 협정으로 경제협력자금 혜택을 받은 기업을 비롯해 일본 정부, 일본 전범기업과의 모금 협의에 주력할 방침이다.
이종구 기자 jglee@kmib.co.kr
日帝 강제동원 피해자 지원 위한 공익재단 출범
입력 2014-06-09 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