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12일 옵션시장 주문 실수로 466억원의 손해가 발생했던 한맥투자증권(이하 한맥증권)이 한국거래소를 상대로 채무부존재 확인소송을 벌이고 있다.
8일 한맥증권과 서울남부지법 등에 따르면 한맥증권은 지난 3월 법원을 통한 거래소의 구상권 청구 독촉에 이의를 제기한 상태다. 한맥증권 비상대책위원회는 “착오거래에 취소 의사표시를 했지만 사고 당일 구제 절차가 원활하지 않았고, 거래소는 대위결제의 세부 근거를 제시하지 못했다”며 이의신청 이유를 설명했다. 이들의 주장대로 채무부존재가 입증되면 한맥증권은 부채가 자산을 초과하지 않게 되며, 부실 금융기관 지정 및 청산 절차에서도 변수가 생긴다.
한맥증권은 이르면 9일 거래소 최경수 이사장을 상대로 손해배상청구소송에도 나설 계획이다. 금융 당국의 검증 이전에 캐시아캐피털 등 해외투자자에 돈을 보내준 행위를 문제 삼는 것이다. 한맥증권은 당시 거래소의 방침대로 수기(手記)로 구제를 신청했지만 물리적으로 3만7000여건에 이르는 주문을 소화하지 못했다. 거래소는 그간 “부당이득 반환을 위해 법적 테두리 내에서 힘쓰고 있다”, “캐시아캐피털뿐 아니라 모든 거래 참가자에 대해 불법 여부를 상시 감시한다”고 항변해 왔다.
한맥증권은 주문실수가 해외 초단타매매 투자자들의 불공정거래와 얽혀 있음을 주장하며 파산을 피할 돌파구를 찾고 있다. 한맥증권 고위 관계자는 “1600만원짜리 물건을 25만원에 사겠다며 허수성 주문을 덫처럼 깔아둔 알고리즘매매 투자자들에게 당한 셈”이라며 “의도를 가진 거래였다면 불법 상속·증여에 해당해 문제가 됐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금융감독원 특별조사국은 캐시아캐피털의 불공정거래 여부 파악에 나섰다.
한맥증권은 초단타매매에 대한 업계의 관행도 문제 삼고 있다. 한맥증권은 청와대에 이어 신제윤 금융위원장과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에게 탄원서를 보내 “사고 당시 일부 증권사가 불법적 전용선(FEP서버)을 설치해 더욱 빠른 거래를 가능케 해 줬다”며 자체 파악한 증권사들의 이름을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한맥증권은 이 내용을 감사원에도 폭로했고, 감사원은 거래소 감사에 착수한 상태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
[단독] 466억 주문실수 사태 6개월… 파산 위기 한맥증권 돌파구 모색
입력 2014-06-09 0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