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네 종류인 청약통장이 ‘주택청약종합저축’ 하나로 통합될 것으로 보인다.
8일 국토교통부와 주택업계에 따르면 국토부는 복잡다단한 청약제도의 간소화·합리화 작업의 일환으로 4개로 분리해 운영하는 주택 청약통장을 하나로 통폐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청약통장은 현재 공공아파트에 청약할 수 있는 청약저축, 전용면적 85㎡ 이하 중소형 민영주택에 청약할 수 있는 청약부금, 예치금액에 따라 민영주택 전체에 청약할 수 있는 청약예금, 1순위 조건에 맞으면 모든 공공·민영주택을 청약할 수 있는 주택청약종합저축 등 4가지로 분리돼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주택 청약제도가 복잡해 개선이 필요하다는 시장의 요구가 많아 개선책을 찾고 있는 중”이라며 “구체적인 내용은 은행권과 협의해야 할 부분이 많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지난 5일 개최한 서승환 장관과 주택·건설업계 대표 간담회에서 이 같은 청약통장 간소화 추진 사실을 공개했다.
정부는 현재 청약저축과 예·부금 통장을 주택청약종합저축으로 통합하는 방안을 염두에 두고 있다. 2009년 일명 ‘만능통장’으로 불리는 주택청약종합저축의 출시로 청약저축과 예·부금 통장의 기능이 하나로 통합됐지만 여전히 4개의 통장으로 상품이 분리돼 있어 청약가입자에게 혼란을 준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부동산 전문가들도 청약제도 간소화 측면에서 통장을 통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올해 4월 말 현재 청약통장 전체 가입자 수는 1655만5958명으로 이 중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 수는 84%인 1391만3498명에 이른다. 신규 가입자가 많지 않은 청약 예·부금과 청약저축의 신규 가입을 제한할 경우 1977∼78년 도입되기 시작한 청약 예·부금 등의 통장은 약 37년 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된다. 다만 통장을 합치더라도 기존 청약 예·부금, 청약저축 가입자의 통장과 청약자격, 순위는 그대로 유지된다.
선정수 기자 jsun@kmib.co.kr
주택청약통장 하나로 합친다… 국토부, 4종 통폐합 추진
입력 2014-06-09 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