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지방선거에서 전국 단위로는 처음 실시된 사전투표가 유권자들의 편의를 높인다는 취지에도 불구하고 개표 지연, 표심 왜곡 등의 문제점을 드러냈다. 다음 선거부터는 반드시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번 선거의 개표는 다른 선거들에 비해 상당히 늦어졌다. 가장 큰 이유는 사전투표였다. 사전투표는 신분증만 있으면 주소지와 상관없이 전국 3000여곳의 투표소 어디서나 할 수 있다. 대신 관외(해당 구역 외) 투표일 경우 투표용지를 봉투에 넣은 뒤 밀봉해 투표함에 넣어야 된다. 이 봉투는 해당 지역으로 발송돼 선거 당일 개표가 시작되면 함께 개봉한다. 사전투표가 선거일보다 5일 앞서 시행되는 건 투표용지를 배송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감안한 것이다.
선관위 관계자는 6일 "개표 현장에서 밀봉된 봉투를 일일이 뜯어 투표용지를 선거구 단위로 나누고 유·무효를 확인한 다음 분류하는 작업이 추가돼 시간이 지연됐다"고 말했다. 여기에 유례없이 접전지역이 많아 개표요원과 참관인들이 신중하게 검토하다 보니 속도가 더뎠다는 설명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관외 투표용지를 투표한 지역에서 개표하도록 하자는 제안이 나온다. 전체 개표 작업에 영향을 덜 미치고 무엇보다 배송 기간을 줄여 사전투표를 선거일에 최대한 임박해서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사전투표에는 전자투표 방식을 도입하자는 목소리도 있다.
보다 근본적인 한계도 노출됐다. 후보자의 결격사유 등이 뒤늦게 드러날 경우 표심에 반영이 안 된다는 점이다. 사전투표 마지막날인 지난달 31일 고승덕 서울시 교육감 후보의 친딸이 페이스북에 올린 글이 대표적이다. "아버지는 교육감이 될 자격이 없다"는 폭로가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지만 사전투표는 이미 끝난 뒤였다. 경기도지사 선거에 나섰던 통합진보당 백현종 후보는 사전투표 직후 사퇴했다. 사전투표에서 백 후보에게 간 표는 전부 사표(死票)가 된 셈이다.
선관위 관계자는 "사전투표일과 본선거일 사이에 어떤 일이 발생할지까지 예측할 순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개표 늦어지고 막판 쟁점 반영안돼… 첫 도입‘사전투표’갈 길 멀다
입력 2014-06-07 06:14 수정 2014-06-07 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