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 발생 이후 처음으로 공식석상에서 '세월호'를 언급하지 않았다. 지난해 취임 초반 4대 국정 기조로 내세웠던 '국민행복'과 '경제부흥'을 오랜만에 꺼내기도 했다. 6·4지방선거 이전까지 엿보이던 위기감과 초조함이 사라진 대신 여당의 상대적 선방이라는 선거 결과에 다소 고무된 듯하다.
박 대통령은 6일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59회 현충일 추념식에 참석해 "앞으로 우리 사회 구석구석의 뿌리 깊은 적폐를 해소하지 않고는 국민안전은 물론 경제부흥도 국민행복도 이루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가 안전관리 시스템 대개조와 함께 공공개혁을 비롯한 경제혁신 3개년 계획 추진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이 '국민행복'과 '경제부흥'이란 단어를 사용한 것은 지난달 26일 공공기관 정상화 워크숍에서였다. 이 자리는 공무원들만 대상으로 한 것으로, 공개적인 메시지를 던지는 공식석상은 아니었다. 두 단어가 박 대통령에 의해 주로 사용됐던 것은 지난해 상반기였다. 이후 공공부문의 '비정상의 정상화'가 많이 언급됐고, 올해 들어서는 '경제 살리기'와 '정부 개혁'이 자주 인용됐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박 대통령의 말 속에는 6·4지방선거를 계기로 그동안의 위기감에서 벗어나 자신감을 갖고 국정 과제를 강력히 재추진하겠다는 의지가 표현돼 있는 게 아니냐"는 말이 나왔다. 지방선거에서의 선전을 계기로 국정 운영도 정상화하겠다는 취지로 읽힌다.
박 대통령은 현충일 추념사에서 경제회복에 대한 강한 의지도 드러냈다. 박 대통령은 "이번이 마지막이라는 생각으로 경제회복의 불씨를 더욱 크게 살려내고 우리 경제의 재도약을 이끌겠다"고 했다. 또 "우리 사회의 비정상적인 적폐를 바로잡아 안전한 나라, 새로운 대한민국을 반드시 만들어 갈 것"이라며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동참이 없다면 이룰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북한에 대해서는 "핵개발과 도발 위협을 계속하는 한 한반도 평화는 요원할 것"이라며 "북한 정권이 진정으로 경제발전과 주민들의 삶 향상을 원한다면 핵개발과 도발 위협부터 내려놓아야 한다"고 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세월호’ 언급 사라지고 ‘국민행복·경제부흥’ 꺼내
입력 2014-06-07 06:13 수정 2014-06-07 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