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총리 누가 될까… 새누리 노심초사 “또 실패 땐 치명상” 인선·개각 앞두고 불안

입력 2014-06-07 06:13 수정 2014-06-07 06:30
새누리당이 조만간 발표될 총리 인선과 개각을 놓고 불안한 속내를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번 인선 결과가 미니 총선이라고 불리는 7·30 재·보궐선거를 앞두고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새누리당 내부에선 이번 인선이 청와대발(發) 악재로 작용할지 노심초사하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국회 인사청문회 문턱에도 가지 못하고 낙마한 안대희 전 국무총리 후보자 사례가 또다시 반복되면 참패할 수밖에 없다는 위기의식도 높아 보인다. 당 고위 관계자는 6일 “일할 기회를 한번만 더 달라고 호소했는데 청와대가 인선을 엉뚱하게 할까봐 고민이 크다”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세월호 참사 영향권에서 어느 정도 벗어난 상황에서 이번 인선을 판세에 영향을 끼칠 주요 변수로 보고 있다. 다른 변수는 크게 고려할 만한 게 없다는 얘기다. 앞서 여야는 재보선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을 위한 국회 국정조사 일정을 조정했다. 청문회 일정을 재보선 이후인 8월 4∼8일로 잡았다.

여야는 재보선을 향후 정국 주도권을 쥘 수 있는 승부처로 보고 있다. 6·4지방선거에서 양쪽 모두 ‘상처뿐인 무승부’를 안게 된 만큼 여야 모두 재보선에 총력을 기울일 태세다. 17개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8대 9로 체면치레를 한 새누리당 입장에선 어느 때보다 절박하다. 재보선마저 패배로 끝나면 완전히 야당의 파상 공세에 한동안 끌려다닐 수밖에 없다는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나름대로 선방했다는 평가도 나오지만 새누리당의 속내는 다르다. 6·4지방선거를 통해 당 지지율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사실을 제대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는 자성론도 제기되고 있다. 선거 막판 ‘박근혜 구하기’라는 카드를 꺼내들어 사실상 무승부 판정까지 끌고 갔을 뿐 당 자체 화력은 제 힘을 발휘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청와대의 인선 실패로 인한 재보선 패배는 새누리당에 치유 불가능한 상처로 남을 수 있다.

반면 이번 인선이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적지 않다.

청와대가 국민적 지지를 받고 국정 쇄신에 힘을 보탤 수 있는 신선한 인사를 전면에 내세우면 당 지지도를 한껏 끌어올릴 수 있다는 것이다. 인선 이후 혼란과 반대 여론에 여러 차례 부닥친 청와대가 이번에도 헛발질을 할 가능성은 희박하지 않겠느냐는 분석도 이를 뒷받침한다. 당 내부에선 국가 대개조라는 국정 기조에 걸맞은 인선이 이뤄질 경우 7·14전당대회 이후의 컨벤션효과를 타고 재보선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낼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된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