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후보효과 인천 친박효과 경기 여촌야도

입력 2014-06-07 06:13 수정 2014-06-07 06:30
6·4지방선거에서 수도권 표심은 크게 엇갈렸다. 서울에서는 광역단체장의 ‘후보 효과’, 인천에서는 ‘친박(친박근혜) 효과’, 경기도에서는 ‘여촌야도(與村野都)’ 현상이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6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개표 결과에 따르면 새정치민주연합 소속인 박원순 서울시장 당선자는 서울 전 지역에서 정몽준 새누리당 후보를 크게 앞섰다. 서울시내 25개 자치구 가운데 서초·강남·용산구 등 3곳을 뺀 나머지 지역에서 우위를 점했으며 전체적으로 63만표를 더 얻었다. 25개 구청장 선거에서도 박 당선자 효과에 힘입어 새정치연합이 20곳을 차지하며 압승했다.

인천에서는 유정복 시장 당선자가 새누리당 후보였지만 10곳의 구청장 가운데 새누리당이 차지한 곳은 6곳으로 절반을 조금 넘었다. 세월호 심판론보다 인천의 부채 문제를 친박 실세의 힘으로 풀겠다는 유 당선자의 ‘강한 시장론’이 보수층 유권자를 집결시켰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특히 마지막까지 광역단체장 선거가 혼전을 거듭한 경기도에서는 여촌야도 현상이 그대로 드러났다. 2010년 민선 5기 기초단체장 선거에서는 한나라당 10곳, 민주당 19곳, 무소속 2곳으로 야당이 압승했다. 특히 인구 50만명 이상의 도시(수원 성남 고양 용인 부천 안산 안양 남양주 화성 평택 의정부) 가운데 남양주를 제외한 모든 곳에서 야당이 승리했다.

올해 지방선거에서도 비슷한 양상이 되풀이됐다. 경기도지사는 새누리당 남경필 당선자가 신승했지만, 새정치연합은 31곳의 기초단체장 가운데 절반이 넘는 17곳을 차지했다. 인구 120만명으로 전국 최대 기초자치단체인 수원에서는 새정치연합 염태영 당선자가 새누리당 김용서 후보를 20% 포인트 넘는 큰 차이로 눌렀다. 성남·부천·고양·의왕시를 비롯해 전략공천 후유증으로 야권표가 분열됐던 안산시장도 새정치연합 소속 후보가 40%에 이르는 높은 득표율로 당선됐다.

하지만 평택·양주·남양주·파주·여주·안성·광주·포천시와 연천·양평군 등 상대적으로 농촌 비율이 높은 지역은 여전히 여당 지지율이 높았다. 야당이 ‘세월호 심판론’을 내세우며 선전했지만 농촌과 도농복합지역, 접경지역이 많은 경기도의 특성상 심판론만으로는 완승을 이끌어 내기에 역부족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수도권에서도 기존의 여촌야도 현상이 여전히 유효하지만 후보자가 누구이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느냐에 따라 표심이 바뀐 특징도 있다”고 말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