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소득, 장년 절반도 안돼

입력 2014-06-07 06:14 수정 2014-06-07 06:30
우리나라 65세 이상 고령자의 소득은 장년기(45∼54세) 때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서울대 이철희 경제학부 교수의 ‘노후소득 수준의 장기적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고령자의 장년기 대비 노후소득 대체율은 65세가 50%, 70세 40%, 75세 30%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됐다. 45∼54세 때 월 100만원을 번 사람이 65세에는 50만원, 70세는 40만원, 75세 30만원의 소득만 있었다는 얘기다. 이 교수는 이 같은 내용을 최근 서울대 금융경제연구원에서 개최한 정책심포지엄에서 발표했다.

이 교수는 보고서에서 “은퇴연령 이후 근로·사업소득이 줄면서 경제사정이 어려워지는 것은 피하기 어렵지만 한국의 노후소득 대체율은 낮은 수준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미국의 경우 1990년대 장년기(55세) 소득 대비 노후(70세) 소득 대체율은 세후 70∼80% 수준이다. 국내 전문가들도 적절한 노후소득 대체율로 50∼70% 수준을 제시하고 있다. 또 한국의 경우 소득수준 하위 계층의 노후소득 대체율이 크게 낮았다. 소득 하위 20%의 경우 70세 노후소득 대체율은 20% 정도로 전체 평균의 절반으로 떨어졌다.

이 교수는 특히 “한국의 경우 공적연금을 받는 경우에도 나이가 들수록 소득 대체율이 계속 하락하고 있다”면서 “전체 노후소득 중 근로·사업소득 비중이 큰 편이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70세의 장년기 대비 노후소득 중 근로·사업소득 비중은 40%에 달하는 반면 공적연금 비중은 5∼6%, 사적연금 대체율은 3∼4% 수준에 불과했다.

이 교수는 “현실적으로 고령인구의 근로소득이나 공적연금 수급액이 획기적으로 늘어나긴 어렵다”면서 “은퇴에 대비해 개인적인 저축 여력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