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동작을 野心… 수원병·펵택을·김포는 與心

입력 2014-06-07 06:14 수정 2014-06-07 06:30

6·4지방선거에서 여야 모두 민심의 경고장을 받으면서 7·30 국회의원 재·보궐선거가 더욱 치열하게 전개될 전망이다. 실제로 국민일보가 6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지방선거 최종 개표 현황을 분석한 결과 국회의원 재보선 확정 선거구 12곳에서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은 6곳씩 나눠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여야 광역시·도지사 후보자들의 득표율을 따져본 결과다. 격전지 몇 곳은 이변 가능성을 시사했다. 대법원 선고를 앞둔 4곳, 파기환송심이 진행된 2곳이 있어 7월 재보선은 최대 18곳으로 늘어날 수 있다.

◇서울 동작·서대문구는 야당이, 경기 5곳 중 3곳은 여당이 앞서=서울에서 보궐선거가 확정된 곳은 새누리당 정몽준 전 의원의 지역구인 동작을이다.

동작구 전체로 볼 때 새정치연합 박원순 서울시장 당선자는 57.89%를, 정 전 의원은 41.35%를 득표했다. 동작구는 국회의원 선거구는 갑과 을로 나뉘어 있고 갑은 새정치연합 전병헌 의원의 지역구다. 2012년 19대 총선에서 정 전 의원은 50.80%를 얻어 야당 후보(44.04%)를 따돌렸다. 동작을의 표심을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서울 전체에 불어 닥친 세월호 심판론을 감안하면 새누리당이 7월 선거에서 안심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대법원 선고 예정 지역인 서대문을 역시 새누리당이 19대 총선에서 이겼던 지역이다. 그러나 당시 득표율 차이는 0.87% 포인트에 불과했다. 서울시장 선거에서 박 당선자는 서대문구에서 58.46%를 얻었다. 지방선거 표심을 놓고 본다면 서대문을 역시 야당 후보에게 유리할 수 있다.

경기도는 양상이 다르다. 확정된 5곳 가운데 3곳은 새누리당에 유리한 것으로 분석된다. 재보선이 확정된 곳은 수원 을·병·정과 평택을, 김포다. 경기도 정치의 중심인 수원 3곳에서 동시에 선거가 치러지니 이곳은 총선을 방불케 할 전망이다. 경기도지사에 당선된 새누리당 남경필 전 의원은 수원병, 새정치연합 김진표 전 의원은 수원정이 지역구였다. 지방선거에서도 19대 총선 분위기가 그대로 반영돼 수원병이 있는 팔달구는 새누리당이, 수원정이 있는 영통구는 새정치연합이 득표에서 비교적 여유 있게 앞섰다.

민심이 팽팽한 곳은 수원을이 있는 권선구다. 이곳은 새정치연합 신장용 전 의원이 선거법 위반으로 직을 상실했다. 지방선거에서는 새정치연합이 50.61%, 새누리당이 49.38%를 얻어 표 차이가 거의 없었다. 수원 재보선의 여야 승패가 여기서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

평택을과 김포는 모두 19대 총선에서 새누리당 후보가 이겼다. 그러나 평택을은 2.29% 포인트 차의 신승이었다. 이번 지방선거에서도 평택시와 김포시 모두 새누리당이 더 많이 득표했다. 유정복 인천시장 당선자의 지역구였던 김포는 19대 총선에서 새누리당이 15% 포인트 앞섰으나 이번 지방선거에서는 5.6% 포인트 앞서는 데 그쳤다.

◇부산과 충청의 향방은=이번 지방선거에서 충북은 팽팽했지만 결국 새정치연합의 손을 들어줬다. 반대로 부산은 긴장감 속에 새누리당이 이겼다. 두 지역 다 7월 선거에서 이변이 발생할 수 있다는 뜻이다.

부산은 새누리당 소속 서병수 부산시장 당선자의 지역구였던 해운대·기장갑에서 보궐선거를 치른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해운대구와 기장군 전체 득표율은 무소속 단일화를 이뤄낸 야권이 48.45%, 여당이 48.32%를 얻었다. 야권이 0.13% 포인트의 근소한 격차로 승리했다. 지난 19대 총선에서 새누리당이 해운대·기장갑에서 55.52%를 얻은 것과 비교하면 표심이 달라졌다고 볼 수 있다. 여야의 공천 결과에 따라 이변 가능성이 있다.

충북은 충주에서 보궐선거가 치러진다. 19대 총선 당시 여당은 69.27%, 야당은 30.72%를 얻어 격차가 컸다. 그러나 이번 지방선거에서 여당은 51.5%, 야당은 46.86%를 득표해 차이가 크게 줄었다.

또 대법원 선고를 앞둔 충남 서산시·태안군에서는 새정치연합이 새누리당에 약 5% 포인트 앞섰다. 충북·충남도지사와 대전·세종시장 선거에서 새정치연합을 밀었던 충청도 표심이 보궐선거에서는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여야의 희비가 엇갈릴 전망이다.

엄기영 최승욱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