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선택 이후] 16년 만에 깨진 ‘與 참패 징크스’

입력 2014-06-06 03:06 수정 2014-06-06 11:06
집권 여당의 지방선거 ‘참패 징크스’가 이번 제6회 전국동시 지방선거를 통해 16년 만에 깨졌다.

17개 광역단체장 선거 승패를 단순히 수적으로만 평가하면 새누리당은 8대 9의 스코어로 새정치민주연합에 밀렸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집권 여당 입장에서 역대 지방선거와 비교하면 꽤 ‘선방한 성적표’를 받았다. 정권 심판론을 내세운 야당에 판판이 패한 수모를 또 당하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여야의 지방선거 대결에서 이처럼 팽팽한 성적이 나온 것도 처음이다.

이번 선거를 놓고 여야 모두 민심이 어느 한편을 들어줬다고 자평하지 않는다. 하지만 ‘지방선거=여당의 무덤’이라는 징크스가 제2회 지방선거 이후 처음으로 깨졌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여기엔 박근혜정부 집권 초기에 치러진 선거라는 점이 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선거 막판 ‘박근혜 구하기’라는 여당의 선거 프레임도 어느 정도 힘을 발휘한 것으로 보인다. 세월호 참사 이전에는 한동안 박 대통령 지지율이 높게 유지됐다는 점도 중요하게 여겨진다. 이 때문에 여당이 압승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엿보였지만 세월호 참사 이후 정권 책임론이 불거지면서 그나마 이만큼 선전했다는 평가도 있다.

집권 여당이 받아든 역대 최악의 성적표는 2006년 제4회 지방선거 결과였다. 당시 여당인 열린우리당은 16개 광역단체 중 전북 1곳에서만 승리했다. 나머지를 모두 야당에 내줬다. 이뿐 아니라 야당이 서울의 기초단체장 25자리를 모두 휩쓸어갔다.

김대중정부 마지막 해인 2002년 치러진 제3회 선거에서는 당시 여당인 민주당이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수도권 3곳을 포함해 11곳을 야당에 내주며 참패했다.

이명박정부 3년차 때인 2010년 제5회 지방선거에서도 여당인 한나라당(현 새누리당)은 이미 차지하고 있던 12곳의 광역단체장 중 절반인 6곳을 지키는 데 그쳤다. 당시 이명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각종 여론조사에서 50% 안팎을 기록하며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다. 하지만 야당의 견제론이 민심을 움직였다.

유일하게 집권 여당이 압승한 선거는 1998년 제2회 선거였다. ‘DJP(김대중+김종필)’ 연합정권 출범 초기에 치러진 덕분에 정부와 대통령에 대한 중간평가라는 야당의 공격이 작동하지 않았다. 당시 김대중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도 높았다. 그 대신 유권자들은 야당이던 한나라당에 ‘IMF(국제통화기금) 사태’를 초래한 책임을 물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