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선택 이후] 청와대 글 교사 징계 문제, 전교조 법적 지위 판단 등 예민한데…

입력 2014-06-06 03:06 수정 2014-06-06 11:06
지방교육 수장의 3분의 2 이상이 진보 진영 출신으로 채워짐에 따라 교육 당국과의 엇박자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이미 여러 차례 진보 교육감들과의 충돌을 빚어온 교육부는 곤혹스러운 눈치다.

교육부 관계자는 5일 “그동안 6곳의 진보 교육감들과 함께 일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크게 걱정할 일은 아니다”면서도 “다만 교육부가 직접 발로 뛰는 등 현장과의 소통을 더 적극적으로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방적으로 공문을 하달하는 식으로는 정책 집행이 어려울 것이라는 얘기다. 청와대 게시판에 글을 올린 교사들에 대한 징계나 전교조의 법적 지위 판단 문제 등은 “좀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 한다”고 전망했다. ‘사실상 징계가 물 건너가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그건 아니다. 원칙은 원칙”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공무원이 크게 동요할 일이 있겠는가”라고 반문했다. 4년 동안 교육감이 진보→보수→진보로 바뀌어온 만큼 혼란스러울 수 있지만 공무원은 선거 결과에 상관없이 주어진 일을 할 뿐이라는 얘기다.

일선 교육청과 전교조의 관계는 과거와 사뭇 달라질 가능성이 높다. 시·도 교육감 당선자 중 8명이 전교조 출신이고 나머지 5명의 진보 진영 당선자 역시 전교조와의 유기적인 협조를 강조하고 있다. 전교조는 이날 “혁신교육과 교육복지, 평등교육을 표방한 진보 교육감에 대한 지지가 높게 나타났다”고 논평하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하지만 특정 이슈가 부각되기 전까지는 진보 교육감과 전교조 모두 조심스러운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진보 교육감이 다수 당선됨에 따라 교육 현장이 혼란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가 많다는 점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 당선자는 이날 당선소감에서 “민주진보 교육감에 대해 불안해하는 부모님도 있을 텐데 불안해하지 않아도 좋다”며 “보수 후보들에게 표를 준 마음과 의사도 채찍으로 받아 안겠다”고 밝혔다.

정승훈 기자 shj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