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영화’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는 우리은행이 결국 예금보험공사로부터 또다시 기관주의 조치를 받았다. 예보공사와 맺은 경영정상화 이행약정(MOU)을 달성하지 못했다는 게 이유다.
금융 당국이 최근 국회에 보고한 1분기 공적자금 운용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예보와 MOU를 체결한 6개 금융기관 중 우리금융지주와 우리·광주·경남은행이 지난해 4분기 기준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5일 “우리금융지주와 우리은행은 총자산순이익률(ROA), 순고정이하여신비율 등이 목표에 미달해 지난 4월 예보로부터 기관주의 조치를 받았다”면서 “광주·경남은행은 종합 평점이 기준 점수를 넘어서 조치를 받지 않았다”고 말했다.
ROA는 금융기관이 낸 이익수준이고, 순고정이하여신비율은 금융기관이 부실채권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수치다. 두 가지가 목표치를 미달했다는 것은 우리금융이 이익은 많이 못 내고, 부실채권은 많이 보유했단 얘기다.
이 같은 결과는 사실 예고된 것이었다. 지난해 실적이 워낙 나빴기 때문이다. 주력 계열사인 우리은행의 부진이 컸다. 올해 우리은행 매각 재추진이 예정된 상태에서 적극적인 수익 내기는 기대하기 어려운 일이다. 우리금융은 민영화를 전제로 충당금을 보수적으로 쌓아놓기도 했다. 지난해 우리금융의 충당금 총액은 5조4700억원으로 전년보다 20% 가까이 급증한 상태였다.
이 때문에 우리금융 입장에서는 이번 제재가 다소 억울할 것이라는 얘기도 나왔다. 특히 예보 지분이 약 57%인 우리은행의 운영에는 정부의 입김이 작용할 수밖에 없다. 실제 우리은행은 다른 시중은행에 비해 조선·철강 등 위험업종 여신 비중이 크다. 그러나 금융 당국 측은 이번 평가에서 부실 문제가 컸던 STX조선 여신은 제외해주는 등 우리은행 측 입장을 충분히 반영했다는 입장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정부가 최대 주주인 상황에서 정상적 경영은 기대할 수 없지 않겠느냐”면서 “질질 끌고 있는 민영화 문제가 해결되기 전에는 악순환이 계속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
[비즈카페-단독] 민영화 지지부진 우리銀 경영실적 굴욕
입력 2014-06-06 03:06 수정 2014-06-06 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