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선택 이후] 진보교육감들 ‘사교육 고통 경감’ 중요 공약으로 제시했는데…

입력 2014-06-06 10:43 수정 2014-06-06 11:06
전국 17개 광역지자체 중 13곳에서 진보 진영 교육감이 당선됨에 따라 일선 학원가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진보 진영 교육감들은 대부분 사교육 수요를 해소하고 선행학습을 철저히 감독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어 입시학원들이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양새다.

지난달 30일 당시 진보 진영 교육감 후보들은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사교육 고통 경감'을 중요한 정책으로 제시했다. 사교육 고통 경감 해소책으로 제시된 것은 '학원 교습시간 단축으로 저녁과 주말이 있는 삶 보장' '입시제도 개편으로 사교육 수요 해소' 등이었다.

13명의 진보 교육감 당선자 중 11명이 당시 공통 공약 발표에 참가했다. 조희연(서울) 이재정(경기) 이청연(인천) 민병희(강원) 김지철(충남) 최교진(세종) 김병우(충북) 김승환(전북) 장휘국(광주) 장만채(전남) 박종훈(경남) 당선자다. 이날 공약 발표에 참가하지 않았던 김석준(부산) 이석문(제주) 당선자도 공약에 공감하고 있어 13개 시·도에선 교육청과 입시학원들의 갈등이 빚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 당선자는 선거운동 기간 '교육도 사람이 먼저다'란 슬로건을 내걸었다. 주말 학원 교습시간을 단축해 아이들에게 '주말이 있는 삶'을 보장하겠다는 취지다. 사교육비 경감과 선행학습의 폐단을 줄이기 위해 '주말 저녁 학원 교습시간 단축'과 '월 2회 학원 휴무제' 추진이 예상된다.

이재정 경기도 교육감 당선자도 마찬가지다. 이 당선자는 여러 차례 "사교육비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공교육만으로도 모든 것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학원에서 하는 모든 일을 학교 안에서 교사와 함께 학생들이 해결해 나갈 수 있게 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입시학원의 한 관계자는 "진보 진영 교육감들이 내세운 공약이 입시학원들에는 매우 공격적으로 느껴져 예의주시하고 있다"면서도 "교육정책은 입시 등과 복잡하게 얽혀 있어 특정 지역이나 특정 분야의 조치로 큰 영향을 받거나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승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