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국민의 선택] 겉으론 ‘지역일꾼 뽑는 것’ 속내는 ‘朴 정부 중간평가’

입력 2014-06-05 02:44 수정 2014-06-05 02:44
청와대는 4일 전국에서 일제히 진행된 제6회 동시 지방선거 개표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처음 치러진 전국 단위 선거이자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중간평가 성격을 띤 선거였던 만큼 긴장한 표정이 역력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참모진도 조용한 분위기에서 투표 결과를 예의주시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청와대는 특히 투개표 상황을 파악하면서 경우의 수에 따른 대응 시나리오를 마련하느라 분주한 움직임을 보였다. 이번에 사전투표제가 처음 도입되면서 4년 전보다 높아진 투표율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투표 마감까지 이번 선거와 관련해 불필요한 오해를 사지 않도록 대외적인 언급은 극도로 자제했다.

박 대통령은 오전 투표를 제외하곤 공식 일정을 잡지 않고 청와대 관저에서 투표 결과를 지켜봤다. 선거 이후 정국 상황에 대한 대응책도 숙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후 6시부터는 TV를 통해 개표 방송을 보면서 참모진으로부터 관련 상황을 보고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는 김기춘 비서실장이 주재한 수석비서관회의를 오후 2시부터 열었다. 평소 오전에 열렸으나 수석비서관 등 참모진이 오전에 자택 부근에서 투표한 뒤 출근하도록 한 것이다.

회의에서는 투개표 진행 상황에 대한 평가, 향후 정국 방향에 대한 논의가 심도 있게 이뤄졌다. 특히 정무수석실을 중심으로 이번 선거 결과에 따른 국정운영 방안도 집중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또 회의 참석자들은 박 대통령이 올해 발표했던 집권 2년차 주요 국정과제는 선거 결과와 상관없이 충실히 이행돼야 한다는 데에도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는 표면적으로는 이번 선거 결과와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직접 연결시키는 것에 대해 선을 긋고 있다. 지방선거의 기본 취지가 지역 일꾼을 뽑는 것으로, 국정과 직접 연관성은 없다는 취지다.

그러나 속내는 그렇지 않다. 이번 선거가 세월호 참사의 후폭풍을 바로 맞을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긴장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지방선거에 출마한 각 후보들의 공약이 이슈로 부각되지 못하고 세월호 사고에 묻혀버린 데다 체감경기 역시 최악인 상황에서 청와대 역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이미 청와대 내부적으로는 대통령을 제대로 보좌하지 못했다는 책임론을 더 이상 회피하지 않겠다는 분위기도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