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고위당국자는 2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도 확 쏠리는 성격이고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도 통 큰 성격"이라며 "최근 북·일 납치자 재조사 합의문을 보면 '생존자 귀환' 문제가 2번 언급돼 있다. (일본의) 중요한 선거 전까지 생존자를 몇 명 데려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조율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기자들과 만나 "생존자 문제에 대해선 북한도 뭔가 카드가 있다고 일본이 보고 있는 것 같고, 북한도 냄새를 피운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 당국자는 "합의 내용을 보면 재조사가 1945년 해방 이후부터 시작되고, 일본 사람이 직접 북한에 가서 조사상황을 챙겨볼 수 있는 등 스코프(조사 대상)와 액세스(조사 접근)가 굉장히 넓더라"며 "북·일 사이의 사람 관련 일은 다 처리하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 당국자는 "일본이 북한에 의미 있는 식량 원조를 하면 국제사회에서 부정적 의견이 나올 것"이라며 "대북 압박에 있어 일본의 원조가 변수가 되는 상황이 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솔직히 북·일 합의까지 이뤄지리라고는 우리 정부는 예상하지 못했다"고 했다. 이 당국자는 이달 말로 예상되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방한과 관련해 "이론적으로는 시 주석 방한 전에 북·중 지도자 간 만남도 배제하지는 못한다"며 "현재로는 시 주석이 한국을 먼저 찾게 될 것 같은데 그것은 큰 사건"이라고 평가했다.
손병호 기자
정부 고위당국자 “北·日 합의까지는 예상 못했다”
입력 2014-06-03 02:33 수정 2014-06-03 0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