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정년퇴직 후에도 가장 오래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0대 후반에 조기 은퇴해 여유를 즐기는 유럽 국가들과 달리 한국은 퇴직금, 연금만으로는 노후를 대비할 수 없어 고령에도 노동을 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2일 OECD에 따르면 2012년 기준으로 한국 남성의 유효 은퇴연령은 평균 71.1세로 멕시코(72.3세)에 이어 2위였다. 여성도 평균 69.8세로 칠레(70.4세)에 이어 2위에 올랐다. 유효 은퇴연령은 노동시장에서 완전히 빠져 경제활동을 더 이상 하지 않는 나이로 실질적인 은퇴 시점을 뜻한다.
남성의 경우 멕시코와 한국만이 70세가 넘었고 칠레 69.4세, 일본 69.1세 순이다. 룩셈부르크는 57.6세로 가장 낮고 벨기에 59.6세, 프랑스 59.7세로 3개국이 60세에 못 미쳤다. OECD 평균은 64.2세다.
한국 남성의 유효 은퇴연령은 정년퇴직 등으로 연금을 받기 시작하는 공식 은퇴연령(60세)과는 11.1세 차이가 나 OECD 회원국 중 격차가 가장 크다. 정년퇴직 후에도 일터에서 가장 많이 일한다는 뜻이다. 반면 룩셈부르크는 유효 은퇴연령(57.6세)이 공식 은퇴연령(65세)보다 7.4세 낮다. 연금을 받는 시기보다 7.4년 더 일찍 은퇴해 노후를 즐긴다는 얘기다.
한국 여성의 유효 은퇴연령(69.8세)은 공식 은퇴연령(60세)보다 9.8세 많아 칠레(10.4세) 다음으로 격차가 크다. 반면 벨기에는 유효 은퇴연령(58.7세)이 공식 은퇴연령(65세)보다 6.3세 적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한국, 정년퇴직 후에도 가장 오래 일한다
입력 2014-06-03 03:35 수정 2014-06-03 0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