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진 안보실장 체제와 안보라인 구성 전망] 국정원장은?… 후보 2∼3명 압축, 非軍출신 유력

입력 2014-06-02 05:05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이 1일 춘추관에서 신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국방부 장관 내정자를 발표하고 있다. 국가안보실장에는 김관진 현 국방부 장관이, 김 장관의 자리 변동에 따른 후임 장관에는 한민구 전 합참의장이 지명됐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박근혜 대통령이 1일 김관진 국방부 장관을 공석 중이던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에 지명한 것은 더 이상 안보 공백 상태를 방치할 수는 없다는 판단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 22일 김장수 전 안보실장 경질 이후 열흘 이상 계속된 외교안보 사령탑의 부재 속에 동북아 안보지형에 큰 변동을 야기할 변수들이 다수 발생했다. 특히 지난 30일 발표된 일본 아베 신조(安倍晋三)정권과 북한의 합의는 한·미·일 삼각 대북공조 틀이 깨질 수도 있는 중대 변수라는 평가다. 이에 따라 박 대통령은 최대한 빨리 안보실장을 임명해 흔들림 없이 안보 상황을 관리하려 한 것으로 여겨진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이 춘추관 브리핑에서 “국가안보 공백을 방지하고 안보태세를 확고히 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당초 함께 발표될 것으로 예상됐던 국가정보원장 인선은 이번 발표에서 제외됐다. 민 대변인은 “안보의 또 다른 한 축인 국정원장은 현재 검증작업이 진행 중”이라며 “검증이 끝나는 대로 내정자를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인사검증팀은 유력한 후보를 2∼3명으로 압축한 뒤 막바지 검증작업을 벌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안보실장은 까다로운 국회 인사청문 절차 없이 바로 임명이 가능하지만 국정원장은 이를 거쳐야 하는 만큼 꼼꼼한 검증이 필수적이다. 안대희 전 총리 후보자 낙마 이후 청와대의 인사검증 시스템에 대한 비난이 거세지면서 부담이 더 커진 것도 국정원장 인선이 늦어지는 또 다른 한 원인이다.

현재 청와대 안팎에선 차기 국정원장은 비(非)군 출신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등 안보라인의 ‘군 독주’ 현상에 대한 비판론이 커지고, 전임 남재준 원장 역시 군 출신이었다는 점에서 이번만큼은 민간인 출신이 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한 상황이다.

어쨌든 차기 국정원장은 국정원 내부 개혁을 이끌면서 대공수사 및 대테러 등 고유 업무를 잘 아는 인사가 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또 내부에서 휘둘리지 않으려면 이른바 ‘그립(조직 장악력)’이 센 인물이 필요하다는 논리도 제기된다.

청와대와 정부 내 부산·경남(PK) 편중 인사에 따른 지역 안배론도 부상하지만 호남 출신 안보실장, 충북 출신 국방부 장관이 내정된 만큼 출신 지역은 큰 변수가 되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안보라인은 출신지 연고보다 업무 수행능력과 판단력이 가장 중요한 덕목”이라고 말했다.

여권 주변에선 여전히 안전기획부(국정원 전신) 2차장을 지낸 이병기 주일대사나 국정원 1차장 출신인 김숙 전 유엔주재 대사, ‘공안통’인 황교안 법무부 장관 등이 국정원장 후보로 거론된다.

국정원장 내정자 발표는 6·4지방선거 이후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안보실장과 달리 여론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국정원장 인선을 선거 직전 발표할 경우 야당으로부터 ‘선거용’이라는 비판을 받을 수 있어서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