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7일 국민연금의 환헤지와 관련해 “오히려 국민 노후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후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한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연금 자산 규모를 안정적으로 가져가야 하기 때문”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국민연금의 해외 투자 자금 흐름이 환율 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언급하며, “(국민연금이) 해외로 돈을 많이 가져갈 때는 원화 가치 절하, 가지고 들어올 때는 절상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연금 지급을 위해 해외 자산을 들여와 지급할 때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절하 국면에서는 원화 표시 수익률이 높아지지만, 장부상 수익률이 높다고 해서 노후 자산이 커지는 것은 아니다”라며 “환헤지 등으로 수익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국민연금과의 650억 달러 규모 외환스와프와 관련해 “연장하는 것 자체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고환율 배경에 대해서는 “한미 금리차 때문이 아니고, 단지 해외 주식 투자가 늘었기 때문”이라며 “젊은 분들이 ‘쿨하다’면서 해외 투자를 많이 하는데, 환율이 변동될 때 위험 관리가 될지 모르겠다. 우리나라만의 유니크한 상황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명오 기자 myung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