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에게 대만 문제와 관련해 중국을 자극하지 말 것을 주문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26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다카이치 총리와의 전화 통화에서 대만 관련 발언의 수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번 발언은 다카이치 총리가 지난 7일 일본 국회에서 “대만 유사시 일본이 집단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시사한 데 따른 것이다.
해당 발언 직후 오사카 주재 중국 총영사가 소셜미디어를 통해 다카이치 총리를 겨냥해 ‘더러운 목을 벨 수밖에 없다’고 위협하는 등 중국 측은 격렬하게 반발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의 조언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통화 직후 이루어졌다. 시 주석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1시간 통화 중 절반가량을 할애해 “중국이 역사적으로 대만에 대한 영유권을 지니고 있다”고 주장하며 미·중 양국이 세계 질서를 공동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미국 측 관계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다카이치 총리에게 발언 철회를 압박한 것은 아니며, 일종의 ‘조언’ 수준이었다고 선을 그었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다카이치 총리가 일본 국내 정치 상황상 해당 발언을 철회하기 어렵다는 점을 이해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본 정부 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러한 태도를 우려스럽게 받아들이는 기류가 감지됐다고 WSJ은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만 문제에서 중국의 입장을 일부 수용하는 듯한 태도를 보인 배경에는 무역 문제가 자리 잡고 있다는 분석이다.
백악관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의 미국산 대두 구매 지연을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과의 통화 후 “중국에 대두 구매를 서둘러 달라고 말했다”고 밝혔으며, 이후 중국은 3억 달러(약 4400억원) 규모의 미국산 대두를 구매하며 화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성명을 통해 “미국과 중국의 관계는 매우 좋으며, 이는 동맹인 일본에도 득이 된다”면서 “중국과 잘 지내는 것이 미국과 일본 모두에 이익”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은 일본, 중국, 한국 등과 훌륭한 무역 협정을 체결했고 세계는 평화롭다”며 “이 상태를 유지하자”고 덧붙였다.
한명오 기자 myung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