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내년 4월 중국 베이징을 방문한다고 직접 발표했다. 미국 대통령의 중국 방문은 트럼프 대통령의 집권 1기 시절인 2017년 11월 이후 8년여 만이다. 트럼프는 이날 통화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미국 방문도 제안했다. 이번 통화는 대만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시 주석이 먼저 제안한 것으로 중국이 일본의 핵심 동맹인 미국과 직접 소통에 나선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루스소셜에 시 주석과의 전화통화 사실을 알린 뒤 “시 주석이 4월 베이징 방문을 제안했고 나는 이를 수락했다”고 말했다. 이어 “시 주석은 내년 중(4월 방중 이후) 미국을 국빈 방문하는 나의 손님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두 정상은 지난달 말 한국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부산에서 만난 이후 당시 합의 내용을 점검하기 위해 통화했다.
트럼프는 “이번 통화는 3주 전 한국에서 있었던 매우 성공적인 회담의 후속”이라며 “그때 이후로 양측은 우리의 합의를 최신이자 정확한 상태로 유지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 이제 우리는 큰 그림에 시선을 둘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와 중국의 관계는 대단히 강력하다”며 “우리는 자주 소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동의했으며 나는 그렇게 하기를 고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 주석도 “지난달 우리는 한국 부산에서 성공적으로 회담을 열어 많은 중요 합의를 달성했고 중미 관계라는 이 거대한 배가 안정적으로 전진하도록 조정하고 동력을 불어넣음으로써 세계에 긍정적 신호를 발신했다”며 “부산 회담 이후 중미 관계는 총체적으로 안정·호전됐고 양국과 국제 사회의 환영을 받았다”고 말했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전했다.
시 주석은 또 “중국과 미국이 협력하면 모두에 이롭고 싸우면 모두가 다친다는 것은 실천을 통해 반복 증명된 상식으로, 중미의 상호성취·공동번영은 눈에 보이고 손에 잡히는 현실”이라며 “양국은 이 추세를 유지하고 올바른 방향을 견지해 협력 리스트를 늘리고 문제 리스트를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미·중 양측이 전한 의제에서는 미묘한 차이도 드러났다. 트럼프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펜타닐, 대두 및 기타 농산물 등 다양한 주제를 논의했다”며 “우리의 위대한 농부들을 위해 훌륭하고 매우 중요한 합의를 이뤘다”고 했다.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전날 스위스 제네바에서 만나 우크라이나 전쟁 종결을 위한 ‘평화 프레임워크’를 마련했다고 발표한 만큼, 트럼프가 이 내용을 시 주석에게 설명했을 가능성이 있다. 대두와 농산물과 관련해서는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이 부산에서 열린 미·중 정상회담 이후 미국산 대두 구매를 재개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중국 정부는 해당 합의의 세부 사항을 구체적으로 확인한 바 없다.
특히 신화통신은 트럼프가 시 주석에게 “양국은 부산 회담의 중요 합의를 전면 이행하고 있다”며 “중국은 제2차 세계대전 승리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했고, 미국은 중국에 있어 대만 문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는 트루스소셜에서 대만 문제를 거론하지 않았는데, 중국 측에서 이 문제에 대한 트럼프의 언급을 보도한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최근 일본이 대만의 자치권에 대해 적극적인 입장을 취하면서 대만 문제가 급부상한 가운데 이뤄진 통화”라며 “대만이 시 주석의 주요 관심사였으나 트럼프는 우크라이나 문제로 화제를 돌렸다”고 전했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