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거주하는 30대 가구의 주택 소유율이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인 25%대까지 주저앉았다. 30대 가구주 4명 중 3명은 무주택자라는 의미다. 고금리 기조와 강화된 대출 규제로 주거 사다리가 끊기며 생애 첫 내 집 마련이 어려웠기 때문으로 보인다.
24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 주택소유통계와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30대 무주택 가구는 52만7729가구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1만7215가구(3.4%) 늘어난 수치로,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5년 이후 최대 규모다.
반면 ‘내 집’을 가진 서울 30대 가구주는 급감했다. 지난해 주택을 소유한 서울 30대 가구는 18만3456가구에 그쳐 전년보다 7893가구 줄었다. 2015년 23만 7000가구에 달했던 30대 유주택자는 2023년 처음으로 20만 선이 붕괴(19만1349가구)된 데 이어, 1년 만에 18만명대까지 밀려났다.
이에 따라 무주택 가구와 유주택 가구 간 격차는 역대 최대인 2.9배까지 벌어졌다. 서울 30대 주택 소유율 역시 25.8%를 기록해 역대 최저치를 경신했다. 2015년 33.3%였던 소유율은 2020년(30.9%), 2022년(29.3%)에 이어 가파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전국 30대 평균 소유율(36.0%)과 비교하면 서울 청년층의 주거 불안정은 10%포인트 이상 차이가 난다.
전문가들은 1인 가구 증가라는 구조적 요인과 함께, 정부의 대출 규제가 청년층의 시장 진입을 원천 봉쇄했다고 분석한다. 또 올해 정부의 초강력 부동산 정책이 주택시장 진입장벽을 더 높였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서울 집값의 절대 수준이 높은 상황에서 LTV(주택담보대출비율) 등 대출 규제가 강화되자, 현금 동원력이 부족한 30대 초중반의 매수세가 완전히 꺾인 것으로 보인다.
청년층의 내 집 마련 의지는 여전히 높다. 토지주택연구원이 지난달 무주택 청년 1인 가구 7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3.2%가 ‘향후 내 집 마련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필요한 정책으로는 ‘주택 구입자금 지원’(24.3%)과 ‘전세자금 지원’(22.3%)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공공임대주택 공급’(18.6%), ‘공공분양주택 공급’(14.4%) 순이었다.
한명오 기자 myung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