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통일, 최종 목표이자 헌법상 책무…일방 추진 않는다“

입력 2025-11-23 21:21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22일(현지시간)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리는 남아프리카공화국 나스렉 엑스포센터에서 열린 한-믹타 정상회동에서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통일은 여전히 우리의 최종 목표이며, 단순한 이상(理想)이 아닌 헌법에 명시된 책무”라면서도 “우리 정부는 일방적인 방식의 통일을 지향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튀르키예 국빈방문을 앞두고 이날 공개된 튀르키예 아나돌루 통신과의 서면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우리 정부는 (일방적 통일이 아닌) 한반도 전체 구성원의 민주적 의사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평화로운 공존과 상호 발전을 통해 점진적·단계적 통일을 추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발언은 통일을 서두르기보다는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하겠다는 뜻을 내비친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어 주목된다. 아울러 그동안 내세워 온 ‘흡수통일 불가’ 입장과도 맥이 닿아있는 발언으로 보인다.

지난 광복절 경축사에서도 이 대통령은 “현재 북측의 체제를 존중한다”며 “어떤 형태의 흡수통일도 추구하지 않을 것이며, 일체의 적대행위를 할 뜻도 없음을 분명히 밝힌다”고 언급한 바 있다.

구체적인 대북 정책에 대해서는 “한반도에서 평화 공존과 공동 번영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고자 한다"며 지난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언급한 북한 비핵화 전략인 ‘E.N.D.(교류·Exchange, 관계정상화·Normalization, 비핵화·Denuclearization) 이니셔티브’를 다시 소개했다.

그러면서 ”현재 (남북 간) 모든 소통 채널이 차단되고 신뢰가 훼손되는 등 한반도는 중대한 난관에 직면해있다. 따라서 대화 재개가 저의 최우선 과제”라며 “어떤 채널을 통해서든 북한과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 대화의 문은 항상 열려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평화를 위한 필수 동반자인 미국과도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평화의 중재자’ 역할을 요청했고, 저 자신은 ‘평화의 촉진자’로 북미대화를 지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고 설명했다.

인터뷰 도중에는 ‘한국이 자체 핵무기 개발을 계획하고 있느냐’는 질문도 나왔다.

이에 이 대통령은 “저는 지난 미국 방문 당시 한국은 핵확산금지조약(NPT)에 따라 핵무기를 보유하지 않는다는 약속을 지키겠다고 강조했다. NPT 체제를 확고히 준수할 것”이라며 자체 핵무기 개발을 하지 않을 것임을 재차 분명히 했다.

그러면서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의 위협이 지속되는 가운데 어떤 도발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한미의 확장 억제를 더 강화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미중 갈등 속 한중 관계에 대해서는 “한미동맹을 공고히 하는 동시에 이웃 국가인 중국과의 관계도 균형 있게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중국은 지금도 최대 교역 상대국이자 안정적 공급망 확보를 위한 필수 파트너”라며 “과거의 수직적 관계가 아닌 수평적 협력을 발굴하는 데 앞장서야 한다”고 밝혔다.

나아가 “동북아에서 군비 경쟁이 격화되고 대결구도가 만들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북핵 및 미사일 위협 대응을 위해 한미동맹을 미래를 향한 포괄적 전략적 동맹으로 발전시키는 동시에 중국과의 우호 관계도 유지하며 동북아의 긴장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구정하 기자 g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