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승? 하락? 제각각인 집값 주간 통계…“대책 평가는 상반기에나”

입력 2025-11-24 05:01
지난 17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의 모습. 연합뉴스

10·15 부동산대책의 ‘한 달 성적표’로 볼 수 있는 지난주 아파트값 주간 통계가 정부와 민간 조사기관에서 제각각 다른 결과로 나왔다. 집값 상승률 반등, 상승 폭 축소 지속, 하락까지 결과가 모두 다르게 나오면서 대책 효과 가늠이 어려워진 모양새다. 왜 이런 상황이 벌어지게 된 것일까.

지난 20, 21일 발표된 서울의 주간 아파트값 동향 수치를 살펴보면, 한국부동산원은 0.20% 상승, KB부동산은 0.23% 상승, 부동산R114는 0.05% 하락으로 집계됐다. 부동산원과 KB부동산이 집계한 상승률은 비슷했지만, 추세에서 차이가 났다. 부동산원이 집계한 0.20% 상승은 직전 주(0.17%)보다 오름폭을 키우며 반등한 상황인 반면, KB부동산 수치(0.23%)는 지난달 20일부터 나타난 ‘오름폭 축소’가 5주 연속 이어진 상황이란 점에서다.

세 기관 중 부동산원에서 가장 먼저 주간 아파트값 동향이 나왔던 탓에 부동산시장은 조심스럽게 ‘10·15 대책 효과가 약화하기 시작했다’고 분석하고 있었다. 하지만 하루 차이를 두고 상반된 수치들이 나오며 대책의 효과를 진단하기가 어려워졌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 같은 통계의 차이는 자연스럽다고 말한다. 조사기관마다 표본 수, 조사 방식, 조사 기간이 모두 달라서다.

먼저 부동산원은 전국 아파트 3만3500가구를 표본으로, 전국의 시세 조사원이 해당 평형의 매물, 호가, 실거래가 등을 직접 조사·판단해 적정 가격을 책정한다. 조사는 매주 목요일을 기준으로 직전 주 화요일부터 해당 주의 월요일까지를 대상으로 한다. 지난 20일의 상승률은 11~17일 조사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출된 것이다.

KB부동산은 전국 아파트 6만2200가구를 표본으로, 협력 공인중개사들이 직접 입력하는 가격을 토대로 지역 담당자가 검증 후 가격을 확정하는 방식으로 조사한다. 공인중개사들은 표본주택의 실거래가를 입력하되, 거래가 없을 경우 매매(임대)사례비교법에 따라 조사된 가격을 넣는다. 조사 기간은 부동산원과 같다.

반면 부동산R114는 전국 아파트 약 90%의 실거래가와 호가를 인공지능(AI)이 분석하는 방식이다. 사람은 거의 개입하지 않는다. 수치는 동향이 발표되는 매주 금요일의 월~금요일 데이터를 기반으로 집계된다. 지난 21일의 수치는 17~21일의 데이터를 분석해 나온 것이다.

지난 21일 한산한 서울 시내 한 은행 대출 창구의 모습. 하나은행, KB국민은행은 연간 가계대출 총량 관리 차원에서 올해 실행분 주택 구입 목적의 가계대출을 제한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여기에 지난달부터 시행된 토지거래허가제로 거래 절벽이 나타난 것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23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규제 직전인 9월(8648건)과 10월(8308건) 서울의 아파트 매매량은 8000건을 넘겼으나 11월은 859건에 불과하다. 거래 신고 기한이 한 달가량 남은 것을 고려해도 적은 수치다. 토허제 시행으로 허가 절차가 필요해 계약서 작성까지 3~4주가 소요되는 영향이다. 거래 자체가 적다 보니 시장이 왜곡되기도 쉽다는 얘기다.

이 때문에 주간 단위의 아파트값 동향으로는 부동산대책의 효과를 진단하는 데에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 많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랩장은 “주간 단위의 숫자는 많은 걸 얘기해주지 않는다. 또 완벽한 조사기관도 없다”며 “실거래가 역시 평균이 아닌 하나의 숫자만 보여주기 때문에, 조사기관 3사의 추이를 몇 주간 지켜보며 실거래가도 함께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10·15 대책의 효과도 내년 상반기까지는 지켜봐야 정확한 판단이 가능할 것이란 분석이 많다. 양지영 신한 프리미어 패스파인더 전문위원은 “내년 상반기 다주택자의 양도세 중과 유예 종료, 높아진 주택담보대출 금리 등 영향으로 시장에 매물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대책 효과는) 내년 상반기까지는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정진영 기자 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