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간 면 음식 가격이 상승하는 ‘면플레이션’이 지속되면서 서울 지역 8개 인기 품목 중 칼국수 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에서 소비자 선호 8개 외식 메뉴의 평균가격은 지난해 12월보다 3.44% 올랐다.
칼국수는 같은 기간 9385원에서 9846원으로 4.91% 상승해 그 폭이 두드러졌다. 칼국수 가격은 10년 전인 2015년 10월(6545원)과 비교하면 50.44% 올랐다.
비교적 서민이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메뉴라는 인식이 있는 칼국수 또한 평균가격이 1만원에 육박하는 셈이다. 명동교자 등 일부 유명 식당에서는 이미 1그릇을 1만1000원에 판매 중이다.
삼계탕값은 지난해 12월 1만7269원에서 지난달 1만8000원으로 4.23% 올랐다. 이는 칼국수에 이어 두 번째 큰 상승 폭이다.
삼계탕 평균가격은 2022년 7월 1만5000원에서 2023년 1월 1만6000원, 지난해 7월 1만7000원까지 지속 상승한 뒤 올해 8월 1만8000원 선을 넘어섰다. 평균가격은 2만원에 미치지 않지만 토속촌, 고려삼계탕, 논현삼계탕 등 일부 삼계탕 전문점은 ‘기본 삼계탕’ 1그릇을 2만원에 판매 중이다.
이어 김밥(3500원→3646원), 김치찌개 백반(8269원→8577원), 냉면(1만2000원→1만2434원), 비빔밥(1만1192원→1만1577원), 자장면(7423원→7654원) 등에서 가격 상승이 발생했다.
이 같은 외식물가 상승은 재료비, 인건비, 임대료 인상에 전기·가스비 등 에너지 비용, 수입 원재료에 영향을 미치는 환율 상승까지 맞물리며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칼국수, 삼계탕 등 상승 폭 상위 품목의 경우 수작업이 필요한 품목으로 인건비 영향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