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운전자라면 주목…급가속 막는 ‘오조작 방지장치’ 신청하세요

입력 2025-11-23 10:02 수정 2025-11-23 10:13
지난 13일 오전 10시 55분께 경기 부천시 오정구 원종동 제일시장에서 주행 중인 트럭이 상점 앞으로 돌진하는 사고가 났다. 사진은 사고 현장. 연합뉴스

지난 13일 경기 부천시 제일시장에서 60대 운전자가 1t 트럭을 몰고 상가로 돌진해 4명이 숨지고 17명이 다친 사고의 원인은 ‘페달 오조작’이었다. 경찰과 관계 기관은 이렇듯 최근 들어 고령운전자의 급가속 사고가 이어지는 것과 관련,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 2차 보급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23일 경찰청에 따르면 손해보험협회, 한국교통안전공단과 함께 지난해 업무협약 체결 이후 진행한 1차 무상 보급 사업에 이어, 전국 특별시·광역시 거주 고령운전자 730명을 대상으로 2차 보급사업을 실시한다.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는 정차 또는 저속 주행 중 급가속 조작이 발생할 때 이를 제어해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막는 첨단안전장치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은 1차 사업 참여자 141명을 대상으로 올해 7월부터 9월까지 3개월간 장치 운영 효과를 분석한 결과, 비정상적 가속으로 분류되는 페달 오조작 의심 사례 71건이 확인됐으며 모두 장치에 의해 원천 차단됐다고 설명했다.
2023년 11월 서울 용산구 이태원에서 급발진을 주장했던 전기차 택시 페달 블랙박스 영상 캡처. 이 택시 운전자는 가속 페달을 브레이크로 오인해 6차례 가속 페달을 밟았다.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제공

2차 보급사업 신청은 다음 달 1일부터 받는다. 신청자는 운전면허증, 차량등록증 등 구비서류를 준비해 내달 19일까지 거주지 인근 한국교통안전공단 지역본부에 우편 또는 방문 접수하면 된다. 신청서류는 한국교통안전공단 누리집과 인근 경찰관서, 지역본부에서도 받을 수 있다.

정부는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를 2029년 1월부터 신차에 의무화할 계획이지만, 기존 차량은 장치 구매·설치가 제한돼 있어 보급 확대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고령자 교통안전을 위해서는 안전한 이동권 확보가 필수적”이라며 “특히 이번 사업을 통해 급가속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에 관한 관심을 높이고, 고령자 교통안전 확보를 위한 정책을 진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명오 기자 myung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