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고 관리하는 ‘새로운 자본주의’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최 회장은 21일 일본 도쿄대 야스다 강당에서 열린 ‘도쿄포럼 2025’ 개회사에서 “현재 자본주의 하에서 우리는 환경 문제, 사회 양극화 등 다양한 사회 문제들에 직면해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도쿄포럼은 최종현학술원과 일본 도쿄대가 급격한 기술발전, 지정학적 불안정 등 글로벌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2019년부터 공동 개최해온 국제 포럼이다. 최 회장은 현재 최종현학술원 이사장을 겸임하고 있다.
최 회장은 “기존 자본주의는 재무적 측면만 집중하고, 사회적 가치에 대해서는 보상이나 인센티브가 거의 없었다”고 지적했다. 여기서 사회적 가치는 단순히 경제적 이윤을 창출하는 것을 넘어, 각종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해 이해 관계자의 행복을 증진하는 것을 의미한다.
최 회장은 지금까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자원의 적절한 분배가 이뤄지지 않았다면서 “현재는 디지털 기술과 인공지능(AI)라는 측정 측면의 아주 좋은 도구가 있어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회적 가치를 체계적으로 측정·평가할 수 있게 되면 자원을 다르게 배분하고 행동을 바꾸기 위한 인센티브를 마련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체제가 갖춰진 새로운 자본주의로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SK그룹이 계열사별로 실시하고 있는 일자리 창출, 납세, 환경, 지역사회 기여 등 다양한 사회적 가치 측정 사례도 소개했다. 최 회장은 “이제 기업의 핵심성과지표(KPI)는 재무적 가치 창출에 머물지 않는다”며 “최소한 사회적 가치를 훼손하지 않는 것을 넘어 ,매년 이를 지속적으로 높여가는 것이 목표가 됐다”고 강조했다.
이번 도쿄포럼에는 최 회장을 비롯해 김유석 최종현학술원 대표 겸 한국고등교육재단 대표, 마리안 베르트랑 미국 시카고대 부스경영대학원 경제학 석좌교수, 고지마 후히토 도쿄대 경제학부 교수, 김병연 서울대 경제학부 석좌교수, 김선혁 고려대 행정학과 교수, 호시 다케오 도쿄대 경제학과 교수 등 학계 및 경제계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박선영 기자 pom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