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가 20일(현지시간) 인공지능(AI) 관련주 거품 우려 지속에 장중 급락 반전하며 약세로 마감했다. 인공지능(AI) 칩 대장주인 엔비디아 호실적 발표가 투자심리를 되살리는 듯했지만, 반나절에 그쳤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86.51포인트(-0.84%) 내린 4만5752.26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03.40포인트(-1.56%) 내린 6538.7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486.18포인트(-2.15%) 내린 2만2078.05에 각각 마감했다.
뉴욕증시는 엔비디아의 호실적 발표에 힘입어 강세로 출발했다. 엔비디아는 전날 뉴욕증시 마감 후 공개한 실적 보고서에서 3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62% 급증했다고 밝혔다. 연간 실적전망도 시장 기대보다 높게 상향 조정했다.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실적과 함께 낸 성명에서 “블랙웰 판매량은 차트에 표시할 수 없을 정도로 높고 클라우드 GPU는 품절 상태”라고 말했다. 이어진 기관투자자와의 콘퍼런스 콜에서 “AI 거품에 관한 이야기가 많지만 우리 관점에서는 전혀 다른 모습”이라고도 했다.
시가총액 1위인 엔비디아의 개장 초 주가 상승률은 5%에 달했다. 그러나 오전 장중 매수 동력이 눈에 띄게 약해지면서 상승 폭을 빠른 속도로 반납했고 증시 고평가 우려가 되살아나면서 정오 무렵에는 S&P 500 지수가 약세로 하락 반전했다.
나스닥 종합지수의 장중 고점에 대비 저점의 낙폭은 5%에 달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 발표 이후 증시 변동성이 급격히 커졌던 지난 4월 9일 이후 가장 큰 장중 변동 폭이다.
엔비디아는 이날 결국 3.15% 하락했고, 장중 고점 대비 낙폭은 8%에 달했다. 반도체 제조사 마이크론은 이날 낙폭이 10.87%에 달했고, AMD(-7.84%), 팔란티어(-5.85%), 인텔(-4.24%), 퀄컴(-3.93%) 등 반도체 종목이 일제히 급락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