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 전문 바이오기업 네이처셀이 20일(현지시간)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시에 무릎 퇴행성 관절염 줄기세포 치료제 생산 시설을 구축한다고 발표했다. 메릴랜드주는 별도 보도자료를 내고 500개의 신규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기대된다고 환영했다.
라정찬 네이처셀 회장은 이날 미국 워싱턴DC의 한 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네이처셀이 3억달러(약 4400억원) 투자를 유치해 볼티모어시에 줄기세포 치료제 연구 ·생산 시설인 ‘바이오스타 스템셀 캠퍼스’를 조성한다고 밝혔다.
네이처셀은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조인트스템의 판매 승인을 받기 위한 절차를 밟고 있다. 지난 18일 FDA와 3상 임상시험 관련 협의를 했다.
라 회장은 “FDA와의 미팅에서는 저희가 3상으로 가는 데 특별한 장애물은 없다는 게 서로 합의됐다”며 “내년 초에 우리가 3상에 들어가는 게 확정됐다고 해도 문제가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라 회장은 “정부의 전문적인 지원과 정책, 풍부한 전문인력, 연구개발을 위한 좋은 전략적 협력 파트너가 있어서 메릴랜드주 볼티모어로 정했다”고 덧붙였다.
내년 초 볼티모어에 착공하는 캠퍼스는 2031년까지 완공될 예정이며 줄기세포치료제 ‘조인트스템’ 100만명분을 생산할 수 있는 역량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조인트스템은 환자 본인의 줄기세포를 활용해 손상된 무릎 연골을 재생시키는 세포치료제다. 환자의 복부 지방에서 소량의 지방조직(약 10㎖)을 채취한 뒤 줄기세포를 추출해 무릎 관절강 내에 주사하는 방식이다.
메릴랜드주도 보도자료를 통해 네이처셀의 생산시설 계획을 발표하며 “약 500개의 신규 정규직 일자리가 창출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웨스 무어 메릴랜드 주지사는 “메릴랜드는 생명과학 혁신을 계속해서 주도하고 있으며 네이처셀의 투자는 생명공학과 첨단연구의 글로벌 허브로서 우리의 명성을 강화한다”며 “우리는 메릴랜드의 인재와 자원이 네이처셀 같은 국제 기업을 미국으로 유치하는 데 계속 도움을 주면서 볼티모어에 양질의 일자리 수백 개를 창출해 기쁘다”라고 밝혔다. 메릴랜드주 상무부는 약 400만 달러 규모의 조건부 대출 승인을 추진 중이다. 볼티모어시도 40만 달러 대출을 제공하고, 사업 승인 절차를 신속히 처리할 예정이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해리 코커 메릴랜드주 상무장관은 “메릴랜드는 네이처셀이 뿌리를 내리고 성장하는 것을 지원할 준비가 됐다”면서 “이제 여러분은 메릴랜드 가족의 일원이며 이에 우리는 감사하다”고 말했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