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태양’으로 불리는 핵융합 연구시설 유치를 놓고 새만금이 전국 경쟁의 무대에 올랐다.
전북특별자치도는 15년간 기반을 다져온 온 준비성을 앞세워 유치전에 뛰어든 가운데 교통·전력·연구 기반을 모두 갖춘 새만금을 최적지로 제시하고 있다.
20일 전북도에 따르면 도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핵융합 핵심기술 개발 및 첨단 인프라 구축사업’의 부지로 새만금 산업단지 3공구를 제안했다. 이 사업은 2027년부터 2036년까지 10년 간 1조2000억원이 투입되는 초대형 국가 연구·개발 프로젝트다. 부지 선정은 11월말 발표될 예정이다.
핵융합은 태양의 에너지 생성 원리를 모사해 수소 동위원소를 초고온(1억℃ 이상)에서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탄소를 배출하지 않고 방폐물도 남기지 않는 차세대 청정에너지 기술이다. 미국·중국·EU 등 주요국이 상용화를 서두르면서 기술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전북은 2009년 국가핵융합연구소(현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협약을 시작해, 2012년 플라즈마기술연구소를 군산에 개소하고 인프라를 확충해 왔다. 최근에는 새만금개발청·군산시 등 유치대응 TF를 꾸려 유치전에 본격 착수했으며, 정치권도 ‘새만금에 떠오르는 인공태양’ 캠페인으로 힘을 보태고 있다.
새만금 산업단지 3공구는 핵융합 실증시설이 요구하는 최소 50만㎡ 이상 단일 부지를 확보할 수 있는 사실상 유일한 후보지다. 전기·상하수도·6차선 진입도로 등 기반시설이 이미 완비돼 있으며, 매립 공사도 2027년 마무리된다.
도로·철도·항만·공항이 연결된 전국적 교통망과 RE100 기반 청정에너지 단지 등 주변 환경도 유리하다. 인근 재생에너지 실증연구단지와 플라즈마기술연구소 등 기존 연구시설과 연계해 실증에서부터 상용화까지 동일 권역에서 구현할 수 있다는 점도 강점으로 꼽힌다.
핵융합 연구시설이 들어서면 초전도 자석·플라즈마·전력제어 등 파생기술을 중심으로 기업 연구소와 스타트업 유치 효과도 기대된다. 전주·완주의 탄소소재 산업, 정읍 방사선산업, 군산·익산 이차전지 산업과의 연계로 ‘전북 연구·개발 트라이앵글’도 완성될 전망이다.
김관영 전북지사는 “15년 동안 준비해 온 꿈의 에너지가 이제 새만금에서 빛을 볼 때”라며 “핵융합 연구시설 유치는 전북을 미래 에너지 연구의 중심지로 도약시키는 국가적 계기”라고 말했다.
전주=최창환 기자 gwi122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