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반도체 관세 부과 미룰 듯”…물가 상승, 대중 관계 고려

입력 2025-11-20 09:39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열린 미국 사우디 투자 포럼에서 연설하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수입 반도체에 대한 관세 부과를 뒤로 미룰 수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19일 (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의 물가 상승과 대중 관계 등을 고려한 조치라는 해석이 나온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 정부 당국자들은 반도체 관세 부과가 곧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는 입장을 정부와 민간 분야 인사들에게 최근 전달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미국 국가 안보와 경제에 위협이 되는 수입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해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 위한 조사에 착수했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반도체 관세 부과는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다. 트럼프는 지난 8월 6일 “반도체에 약 10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칩과 반도체”가 부과 대상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 후에도 비슷한 관세 부과 예고를 했지만 현재까지 반도체 분야 관세를 발표하지 않았다.

로이터 통신은 이 같은 기류 변화가 우선 중국과의 무역 전쟁을 고려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반도체 관세 부과 시 현재 휴전 상태인 미·중 무역 전쟁이 재발할 수 있고, 중국의 희토류 수출통제도 다시 부상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의 물가 인상도 고려됐다는 평가다. 반도체 관세 도입 시 미국의 연말 쇼핑 시즌을 앞두고 물가 인상 압박이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반도체에 대한 관세를 인상하면 스마트폰과 냉장고 등 반도체가 탑재된 가전제품의 소비자 가격이 줄줄이 인상될 수 있다. 트럼프는 지난주 커피와 바나나 등 식품에 대한 관세를 철회하기도 했다. 그만큼 물가 인상을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신호다.

다만 백악관은 “트럼프 행정부는 국가 안보와 경제 안보에 핵심적인 제조업을 국내로 되돌리기 위해 행정 권한의 모든 수단을 동원하겠다는 의지를 유지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