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산업 침체로 산업과 고용 전반에 불안을 겪고 있는 경북 포항시가 지난 8월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에 이어 고용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되면서 이중 안전망을 갖추게 됐다.
19일 포항시에 따르면 고용노동부는 지난 18일 포항시를 ‘고용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공식 지정했다. 지정 기간은 6개월이며, 이 기간 동안 근로자와 기업은 확대된 고용지원과 완화된 자격요건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고용위기 선제대응지역 제도는 고용 상황이 급격히 악화될 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미리 지정해 안정 대책을 선제적으로 지원하는 제도다.
포항시는 최근 철강 경기 둔화로 주요 공장의 가동률이 하락하고 인력 감축이 이어지면서, 그 여파가 협력업체와 지역 중소기업으로 확산된 점을 고려해 시의회, 지역 국회의원, 경상북도와 함께 지정을 적극 추진했다.
이번 지정으로 근로자는 직업훈련을 위한 내일배움카드 확대(300만원→500만원), 생활안정 자금 융자(2000만원→2500만원), 임금체불 근로자 생계비 융자(1000만원→1500만원), 직업훈련 생계비 대부(1000만원→2000만원) 등의 혜택을 받게 된다. 또 국민취업제도(Ⅱ유형) 참여자의 소득요건이 완화된다.
기업은 휴업수당 지원 비율 상향(66.6%→80%), 사업주 직업훈련비 지원 확대(100%→130%) 등 실질적 지원이 주어진다.
지정 기간 내 신청한 경우에만 혜택이 적용되며, 시는 안내 책자 배포, 설명회, 온라인 홍보 등을 통해 지원 내용을 적극 알릴 예정이다.
시는 이번 지정을 계기로 고용 충격을 최소화하고 지역경제 회복과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고용유지, 전직지원, 직업훈련, 생계안정 등 관련 국·도비 사업을 중점 발굴·확대할 계획이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고용 불안에 직면한 근로자와 기업이 실질적인 혜택을 체감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국·도비를 확보해 보다 많은 재원이 지역 고용안정을 위해 쓰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