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싱 악용 ‘심박스’ 제조·판매 차단”…한정애, 법적 근거 마련

입력 2025-11-19 10:04

더불어민주당 보이스피싱 대책 태스크포스(TF) 단장을 맡은 한정애 의원은 보이스 피싱 등 전기통신금융 사기 범죄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전기통신사업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19일 밝혔다.

개정안은 전기통신사업자가 이용자에게 대포폰 개통 및 사용의 불법성과 법적 책임을 명확히 고지하도록 의무화하고 명의도용 방지 서비스와 가입 제한 서비스를 별도 가입 절차 없이 일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았다. 또 발신 번호 변작기의 제조·유통을 금지하는 근거를 마련했다.

현행법은 전기통신사업자에게 본인 확인 절차를 거쳐 이용 계약을 체결하도록 하고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대리점과 판매점의 관리·감독이 미흡해 타인의 명의가 도용되거나 부정한 방법으로 개통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범죄에 악용되는 사례가 빈번하다.

특히 이용자가 휴대전화를 개통하는 과정에서 대포폰의 불법성 등에 대한 별도 고지 절차가 없어 금품을 대가로 타인의 통신용으로 제공하는 행위의 불법성, 대포폰 등 범죄 이용 가능성 등 법적 책임을 인식하지 못한 채 대포폰 개통이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

본인이 인지하지 못한 채 대포폰이 개통되는 사례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명의도용 방지 서비스 및 가입 제한 서비스의 경우 통신서비스 가입 단계에서 이용자에게 해당 서비스를 안내하고 있지만, 이용자가 직접 신청해야만 이용 가능하다. 대다수는 이런 서비스가 있는지조차 인식하지 못하는 등 이용률이 저조해 명의도용 방지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지적이다.

또 통신사업자에게 거짓 표시된 전화번호로 발신되는 전화와 문자를 차단하는 기술적 조치 의무를 부여하는 등 통신서비스의 부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제도가 운용되고 있지만, 해외 발신 번호를 국내 번호로 위장하는 발신 번호 변작기(심박스·SIM BOX)를 통한 보이스피싱 범죄가 급증하는 추세다. 발신 번호 변작기는 ‘070’ 등 해외에서 걸려오는 전화번호를 ‘010’과 같이 국내 휴대전화 번호로 거짓 표시하는 장치다. 해외직구 사이트를 통해 누구든지 쉽게 구매가 가능한 상황임에도 이를 제조·판매·수입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법적 근거는 부재하다.

한 의원은 “최근 대포폰을 활용한 보이스피싱, 불법 대출, 사기 범죄가 늘면서 사회적 피해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며 “보이스피싱 범죄의 경우 갈수록 지능화되고 교묘해지면서 올해 상반기 피해액만 해도 7700억원에 달한다”고 말했다. 이어 “보이스피싱으로 인한 피해는 회복이 쉽지 않고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사전 예방이 매우 중요하지만, 이를 위한 선제적 조치는 미흡한 상황”이라며 “민주당 보이스피싱 대책 TF는 범죄 접근 단계부터 편취 단계에 이르기까지 전 주기에 대한 종합 대책을 속도감 있게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김혜원 기자 ki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