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글로벌 방산·항공기업 ‘에어버스’의 연구 개발 거점인 ‘에어버스 테크 허브’가 대전에 들어설 전망이다.
대전시와 에어버스는 18일 호텔 오노마에서 테크 허브 설치 및 협력관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에어버스 테크 허브는 세계 주요 국가에 설립된 연구개발 플랫폼이다. 미래 항공기 기술 및 첨단 통신 솔루션, 에너지 시스템 개발 등 핵심 기술 관련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협약에 따라 에어버스는 싱가포르 셀레타르와 네덜란드 레이던, 일본 도쿄에 이어 4번째 테크 허브를 대전에 설치하게 된다. 새로운 테크 허브는 공동연구·기술혁신 등을 목표로 지역 대학 및 대덕특구 내 연구기관, 혁신기업들과 함께 기술을 교류할 예정이다.
에어버스가 테크 허브 설치 대상지역으로 대전을 선택한 것은 50여년간 축적된 대전의 세계적인 연구 역량, 한국과학기술원(KAIST)·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이 집적된 글로벌 수준의 연구 인프라, 국방·우주항공·반도체·양자·로봇 등 대전의 첨단 전략산업 집중 육성 정책 때문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시 관계자는 “이번 협약은 지난해 싱가포르 에어쇼에서 시와 에어버스 고위 임원진들이 만나며 전격 성사됐다”며 “같은 해 5월 대전에 방문해 이장우 시장과 만난 에어버스 임원들이 대전의 과학기술 기반, 글로벌 혁신도시로서의 비전을 확인한 이후 허브 테크 설치를 위한 실무협의가 이어졌다”고 강조했다.
테크 허브가 설치되면 대전은 우주항공·방위산업의 글로벌 혁신 거점으로 도약할 기반을 갖추게 된다.
시는 향후 테크 허브를 중심으로 기업·스타트업·연구기관이 에어버스와 협력할 수 있는 ‘오픈 이노베이션’ 생태계를 만들고, 미래모빌리티·그린에너지·양자 및 인공지능(AI) 기술 등 차세대 산업 분야까지 협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최성아 대전시 정무경제과학부시장은 “에어버스 테크 허브가 설치되면 대전이 국가 연구개발의 글로벌 허브로 성장하게 될 것”이라며 “지역 기업들이 에어버스와 함께 국제 공동연구에 참여하고,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