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5명 중 1명 일하는 전북…초고령사회 대응 모델로 부상

입력 2025-11-18 11:14 수정 2025-11-18 12:24
전북 고령친화 일자리에 참여하고 있는 어르신들 모습. 전북도 제공

전북에서 노인 5명 중 1명은 일한다. 고령화율이 26.4%에 이르는 지역이 공격적인 노인일자리 확대 전략으로 전국 평균의 두 배가 넘는 참여율을 기록했다. 단순 소득 보전을 넘어 ‘일하는 고령사회’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는 평가다.

18일 전북도에 따르면 2026년 전북 노인일자리 배정 인원은 8만9633명으로, 65세 이상 노인 인구(45만5823명)의 19.7%에 해당한다. 전국 평균 참여율(9.7%)의 두 배 이상이며 실질적으로 노인 5명 중 1명이 일자리에 참여하고 있다.

전북 고령화율은 26.4%로 전북 평균(21%)을 크게 웃돌지만, 이를 정책 기회로 전환해 노인일자리 분야에서는 선도 모델로 자리 잡았다. 참여 인원은 2023년 6만8901명, 2024년 7만8473명, 2025년 8만6714명으로 매년 증가해 전국에서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노인일자리 사업은 공익활동, 역량활용, 공동체사업단, 취업지원 등으로 구성된다. 단기 일자리가 아니라 사회적 고립 예방·건강 유지·지역 돌봄 기능을 결합한 노년층 맞춤형 안전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전북도는 재정투입에서도 전국 상위권이다. 도비 부담률은 20%로 전국 광역지자체 평균(15%)보다 5%p 높다. 충남·전남·경북·경남(15%), 강원(10%), 경기(7.5%), 충북(5%)보다 높은 수준이다. 2026년 총 사업비 4242억원 중 순수 지방비 2121억원으로 서울·경기에 이어 전국 3위 규모다.

유형별 일자리 구조 뚜렷하다. 2026년 참여 인원은 공익활동형 6만2991명, 역량활용형 2만1063명, 공동체사업단 4014명, 취업지원형 1565명이다. 특히 역량활용형은 2023년 8262명에서 2026년 2만1063명으로 4년간 2.5배 증가했다. 베이비붐 세대와 신노년층의 전문성이 지역 돌봄·교육·안전 분야로 확장되면서 단순노동에서 사회공헌·전문 활동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평가다.

전북도는 내년 3월 도입되는 ‘통합돌봄체계’와 연계해 노인 돌봄·생활지원·안전 분야에서 새로운 일자리를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도 마을 환경정비, 아동·노인 돌봄 지원, 지역 안전 점검 등 생활 밀착형 일자리가 활발히 운영되며 고령층의 삶의 질 개선과 지역사회 돌봄 기반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김관영 전북지사는 “전북은 도와 시군, 수행기관이 함께 어르신 일자리 확충에 앞장서고 있다”며 “어르신이 존중받고 활기차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전북이 고령친화 사회의 표준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주=최창환 기자 gwi122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