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국무총리가 서울시의 ‘감사의 정원’ 조성 사업에 문제를 제기하자 서울시가 “대한민국의 정체성”이라는 반박을 내놨다.
서울시는 17일 보도자료를 내고 “한국전쟁 75년을 맞아 ‘광화문광장’에 6·25 전쟁 참전국에 대한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담은 감사의 공간을 조성하는 사업은 권위적 공간에 조성되는 조형물이 아닌 대한민국 정체성인 자유와 인류 평화를 구현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감사의 정원은 6·25 전쟁 75년을 맞아 서울시가 참전국 22개국과 한국을 상징하는 조형물 23개를 설치하는 사업이다. 조형물은 참전 용사에 대한 예우를 표현하기 위해 ‘집총경례(받들어 총)’ 형상을 모티브로 삼았다. 세종대왕 동상 바로 옆에 설치된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군사적 이미지가 광장의 상징성과 어울리지 않는다’는 논란이 일었다.
시는 “감사의 정원은 세종문화회관 북측 세종로공원 앞과 광화문광장에 6·25 전쟁 희생 용사를 기리기 위해 조성하는 공간으로 지상에는 6·25전쟁 참전국 22개국과 대한민국을 포함해 총 23개의 조형물을, 지하에는 참전용사의 헌신을 되새기고 참전국과 소통할 수 있는 미디어월을 조성하는 사업”이라고 설명했다.
시는 또 “6·25 전쟁 당시 희생한 우리 국군과 유엔 참전용사에 대한 최고의 예우를 나타내는 집총경례(일명 받들어 총) 형태를 모티브로 한 것으로 이를 전쟁의 산물인 것처럼 폄훼하는 것은 호국영령의 숭고한 희생에 대해 적절한 예우가 아니므로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서울시가 이같은 자료를 낸 것은 같은 날 오전 김 총리가 감사의 정원 공사 현장을 찾아 “사업이 법적·절차적으로 제대로 추진되고 있는지 확인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기 때문이다.
이날 김 총리는 “광화문은 문화 국가 대한민국의 미래 상징”이라며 “세종대왕과 이순신 장군을 모신 공간에 받들어 총 형태의 석재 조형물이 들어섰을 때 국민이 어떻게 받아들일지 걱정된다”고 말했다.
이어 김 총리는 “이런 문제는 국가 대계 차원에서 멀리 보고, 국민의 뜻을 충분히 반영하고, 여쭤보면서 합리적으로 하는 것이 좋지 않겠나”라며 “서울시의 합리적 접근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