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가 미국에서 생산하는 차량에 중국산 부품을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 미중 갈등 심화와 관세 부담 증가로 공급망 리스크가 커지자 ‘탈중국’ 전략을 본격화한 것이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는 테슬라가 협력사에 이같은 방침을 통보했다고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테슬라는 올해 초부터 주요 부품 공급업체들에게 미국 내 생산 차량에 중국산 부품을 사용하지 말 것을 요구해왔다.
일부 핵심 부품은 이미 다른 국가 생산품으로 대체가 이루어졌으며, 향후 1~2년 안에 나머지 모든 부품에서도 중국산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테슬라의 이런 움직임은 팬데믹 시기 중국이 봉쇄되면서 공급망이 크게 흔들렸던 경험에서 비롯됐다. 미국 판매 모델의 중국산 부품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노력해왔으며, 그 일환으로 중국 협력사들이 멕시코나 동남아시아 등지에 별도의 생산 시설을 마련하도록 유도하기도 했다.
여기에 올해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부과와 예측 불가능한 대중 통상 정책이 더해지면서 ‘중국산 부품 배제’ 전략에 더욱 속도가 붙었다. 관세 변동성이 커지면서 차량 가격 전략 수립이 복잡해졌고, 최근 중국이 네덜란드 반도체 기업 ‘넥스페리아’ 관련 분쟁 속에서 일부 차량용 칩의 수출을 통제하면서 공급망 불안은 더욱 가중됐다.
물론 중국산 부품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어려운 과제다. 주요 배터리 공급사인 중국의 CATL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는 당장 대체가 어려운 품목으로 꼽힌다. 이 때문에 테슬라는 2026년 1분기 가동을 목표로 미국 네바다주에 자체 LFP 배터리 생산 시설을 구축하며 공급망 내재화에 나섰다.
바이바브 타네자 테슬라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미국 내에서 LFP 셀 생산을 추진하고 있으며, 중국이 아닌 다른 공급망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도 “다만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테슬라의 이번 결정은 제너럴 모터스(GM) 가 최근 공급망에서 중국산 부품을 배제하라고 지시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업계에서는 테슬라의 이러한 움직임이 미국 완성차 업계 전반의 ‘탈중국’ 흐름을 더욱 가속화하는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한명오 기자 myung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