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기준 서울에 ‘내 집 마련’을 하려면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14년 가까이 모아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와 인천은 약 7년 소요되는 것으로 집계됐고, 가구주로 독립한 뒤 생애 첫 집을 장만하는 데까지 걸리는 기간은 약 8년이었다.
우리 국민 10명 중 8명은 내 집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하반기 전국 표본 6만1000가구를 방문해 면담 조사한 ‘2024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지난해 서울 자가 가구 연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수(Price Income Ratio)는 중간값 기준으로 13.9배로 나타났다. PIR은 월급을 꼬박 모았을 때 집을 장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뜻한다.
서울에 내 집을 장만하려면 약 14년 동안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하는 것이다.
서울 다음으로 PIR이 높은 지역은 세종(8.2배)과 경기도(6.9배), 대구(6.7배), 인천(6.6배) 순이었다. 권역별 PIR은 전년 대비 수도권(8.5배→8.7배)과 도 지역(3.7배→4.0배)에서 증가했다. 광역시(6.3배)는 동일했다.
지난해 전국 임차가구 ‘월 소득 대비 월 임대료 비중’(임차 가구 RIR)은 중간값 기준 15.8%로 2023년과 같았다. 전월세 세입자들은 월 소득 15.8%를 임대료로 내고 있는 셈이다.
지역별 임차가구 PIR은 전년과 비교해 수도권은 20.3%에서 18.4%로, 광역시는 15.3%에서 15.2%로, 도는 13.0%에서 12.7%로 모두 하락했다.
실제 거주 여부와 관계 없이 자기 집을 가진 가구 비율을 뜻하는 자가보유율은 지난해 전국이 61.4%로 2023년(60.7%) 대비 올랐다.
지역별로 자가보유율은 전년 대비 도(68.6%→69.4%), 광역시(62.3%→63.5%), 수도권(55.1%→55.6%)에서 모두 상승했다.
자신이 소유한 집에서 거주하는 자가점유율은 전국 58.5%로 전년(57.4%)보다 상승했다.
자가점유율도 전년 대비 도(65.4%→66.5%), 광역시(58.9%→60.0%), 수도권(51.9%→52.7%)에서 모두 올랐다.
지난해 주택 점유 형태 비중은 자가가 58.4%, 임차가 38.0%로 나타났다.
가구주로 독립한 후 생애 첫 집을 장만하기까지 걸리는 기간은 7.9년으로 전년(7.7년) 대비 2개월 늘었다.
1인당 주거면적은 36.0㎡로 전년과 같았다. 지역별로 도(40.2㎡), 광역시(36.7㎡), 수도권(33.0㎡) 순으로 면적이 넓었다.
가구당 평균 주거면적은 2023년 68.9㎡에서 지난해 68.1㎡로 소폭 줄었다. 주거기본법상 최저 주거 기준에 미달하는 가구 비율은 3.8%로 전년(3.6%) 대비 0.2% 포인트 올랐다.
주택 보유에 관한 의식을 조사한 결과 ‘보유해야 한다’는 응답은 86.8%였다. 대부분 가구가 ‘내 집을 보유해야 한다’고 생각한 것이다. 다만 그 비율은 2023년(87.3%) 대비 소폭 낮아졌다.
전체 가구 중 주거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가구는 38.2%로 전년(40.6%) 대비 떨어졌다.
가장 필요한 주거 지원은 ‘주택구입자금 대출지원’(32.0%)이었다. ‘전세자금 대출 지원’(27.8%) ‘월세 보조금 지원’(12.2%) ‘장기공공임대주택 공급’(10.9%)이 뒤를 이었다.
청년 가구는 82.6%가 임차로 거주하고 있고, 오피스텔을 포함한 비주택 거주 비율이 17.9%에 달했다. 신혼부부는 43.9%가 자가에 거주했으며, 아파트(73.4%)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고령 가구는 75.9%가 자기 집에 살고, 단독주택(39.2%) 거주 비율이 높은 특징을 보였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