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제 대학교 졸업 이상 고학력인 20~30대 장기 백수가 13개월 만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6개월 넘게 구직하는 장기 실업자는 4년 만에 최다를 기록했다. 구직활동 자체를 포기한 청년은 줄었지만 고학력 청년 장기 실업자가 늘면서 ‘일자리 미스매치’ 현상이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6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구직 활동을 6개월 이상 했는데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장기 실업자는 지난달 기준 11만9000명으로 집계됐다. 2021년 10월(12만8000명) 이후 4년 만에 가장 많은 수치다.
6개월 이상 장기 실업자(이하 장기 실업자)는 코로나19 당시인 2020년 5월~2021년 12월 계속해서 10만명을 웃돌았고, 이후 대부분 10만명 아래에 머물다 지난달 급증했다.
자료를 살펴보면 지난달 전체 실업자(65만8000명) 중 장기 실업자 비율은 18.1%였다. 다른 해 10월과 비교해보면 1999년 통계 작성 시작 이래 최고 수준이었다. 외환위기 여파가 계속되던 1999년 10월(17.7%)보다도 높았다.
장기 실업자 비율은 지난 4월 9.3%로 한 자릿수였지만 5월 11.4%로 두 자릿수로 올라선 뒤 6개월 만에 2배 수준으로 높아졌다. 4년제 대학교 졸업 이상 학력을 지난 고학력 청년층이 장기 실업자 증가의 주요인으로 풀이된다.
고학력 장기 실업자도 증가하는 추세다.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4년제 대학교 졸업 이상 학력을 지닌 20~30대 중 장기 실업자는 3만500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9월(3만6000명) 이후 13개월 만에 가장 많다.
연령대를 5세 단위로 보면 25~29세에서 규모가 가장 컸다. 총 1만9000명이 학사·석사·박사 학위를 받은 뒤 장기 백수 상태로, 지난 3월(2만명)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이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은 “고학력 청년층이 대기업 문을 두들기지만 대기업은 경력직을 원하는 소위 미스매치 현상이 원인이라고 봐야 한다”며 “대미 3500억달러 투자에 따른 고용 위축,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은 청년층 미스매치의 악화를 더 구조적으로 악화시킬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