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규백 국방부 장관이 장성 인사를 둘러싼 소통, 절차 문제를 두고 진영승 합동참모본부 의장을 질책한 것으로 11일 알려졌다. 합참의장은 군 인사법상 고위 장성급 인사와 관련해 의견을 제시할 수 있지만 결정권은 없다. 그런데도 장성급 장교의 대규모 교체 방침을 선제적으로 언급하면서 불필요한 논란을 자초해 지휘체계 운용에 부담을 안겼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안 장관은 지난 7일 진 의장의 인사 방침을 전달받은 뒤 진 의장에게 “사전에 소통해야 했지 않느냐”는 취지로 질책했다고 복수의 군 소식통은 전했다. 한 관계자는 “장성급 인사는 조직과 군 수뇌부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예민한 사안”이라며 “진 의장의 인사 방침에 불신을 드러내기보다는 군 수뇌부 간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차원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진 의장은 12·3 비상계엄 여파로 정기 인사를 건너뛰어 발생한 보직 적체를 해소하고 조직을 쇄신하기 위한 의지의 표현이었다고 해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합참 고위 관계자는 “인사 명령은 자격 요건과 적임성을 검토해 결정하는 만큼 일괄 교체는 불가능하다”며 “한 번의 인사로 쇄신하겠다는 게 아니라 임기나 근무 연한을 넘긴 이들을 교체한다는 뜻으로 이해했다”고 말했다.
진 의장은 약 2주 전 회의에서 40여명에 달하는 합참 장성 대부분을 교체하겠다는 인사 방침을 밝혔다. 국방부는 이 방침을 지난 7일 뒤늦게 전달받았으며, 이후 양측은 관련 사항을 논의했다고 한다. 국방부는 이르면 이번 주 중 각 군의 고위급 인사를 단행할 예정이다. 이번 인사에는 3성 장군(중장)급을 포함한 주요 보직자 교체가 포함된다.
군내에서는 합참에서 인사 문제가 공개적으로 거론된 것이 부적절하다는 비판도 나온다. 군사 작전·전략을 총괄하는 조직인 합참에서 고위 장교 인사를 논의한 것이 노출되면서 조직 안정성과 지휘체계 신뢰에 영향을 미쳤다는 지적이다. 안 장관의 질책 역시 이 같은 배경에 기반한 것으로 풀이된다. 안 장관은 지난 7일 국회에서 ‘합참 장군 교체를 장관이 지시했냐’는 물음에 “제가 지시한 바 없다”고 답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