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북’ 2집 음반 발매한 랑랑 “입문자에게 피아노 음악의 즐거움 주고 싶어”

입력 2025-11-11 11:32
‘피아노북’ 2집 음반 발매한 랑랑. (c)유니버설 뮤직

“‘피아노북’(Piano Book) 시리즈는 피아노 입문자를 위한 가이드북 같은 앨범이에요. 입문자들이 피아노를 사랑하고, 피아노 음악의 즐거움을 느끼게 해주고 싶었습니다.”

중국 출신의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랑랑이 최근 ‘피아노북’ 2집을 발매했다. 이 음반은 지난 2019년 발매한 ‘피아노북’의 후속작이다. ‘피아노북’ 시리즈는 대중에게 친숙한 레퍼토리들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독일에서 체류 중인 랑랑은 10일 국내 기자들과 화상으로 만나 “내가 ‘작은 걸작’이라고 칭하는 곡들이 있다. 너무 단순해서 전문 피아니스트들은 치지 않지만, 사람들에게 음악의 기쁨을 준다”면서 “‘피아노북’ 시리즈는 음악의 근원적인 기쁨이 순수하고 소박함에서 온다는 것을 느끼게 하는 곡들로 구성돼 있다. 그것을 통해 피아노에 대한 사람들의 열정을 깨워주고 싶다”고 설명했다.

베토벤의 ‘엘리제를 위하여’, 드뷔시의 ‘달빛’, 체르니 연습곡 등 친숙한 클래식 소품을 담은 ‘피아노북’ 1집은 발매 당시 미국, 일본, 영국 등 주요 국가의 클래식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다. 현재까지 세계적으로 스트리밍 횟수가 12억 회를 넘겼다. 이번 2집에는 바흐, 모차르트, 베토벤, 쇼팽, 라흐마니노프 같은 클래식 명곡뿐 아니라 영화 ‘라라랜드’ ‘시네마 천국’, 애니메이션 ‘나루토’, 게임 ‘검은 신화: 오공’ ‘파이널 판타지’ 등 대중문화 속 음악까지 32곡을 수록했다. 그리고 누구나 손쉽게 연주할 수 있도록 자신의 해설을 담은 공식 악보집까지 만들어서 넣었다.

랑랑의 ‘피아노북’ 2집 음반 커버. (c)유니버설 뮤직

랑랑은 “이번 수록곡들은 추억이 있거나 평소 좋아하는 곡들이다. 기존의 클래식 피아노곡 외에 영화, 드라마, 게임 속에 나오는 음악을 피아노곡으로 편곡했다. 피아노 음악은 단 하나가 아니라 다양한 스타일을 담고 있다는 점을 알리고 싶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난 1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자선 콘서트에서 블랙핑크의 로제와 함께 연주했는데, 매우 즐거운 시간이었다”면서 “만약 ‘피아노북’ 3집이 나오게 되면 그때는 K드라마 곡을 연주할지도 모르겠다”고 웃었다.

‘피아노북’ 시리즈는 음악교육에 대한 랑랑의 오랜 관심과 맞닿아 있다. 랑랑은 지난 2008년 자신의 이름을 딴 ‘랑랑국제음악재단’을 설립해 재능있는 어린 피아니스트를 발굴하고 물심양면으로 지원해 왔다. 그는 재단의 교육 프로그램, 마스터클래스, 콘서트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최근에는 세계 240여 학교의 정규 교육과정에 음악 수업을 편입시키는 일을 후원하고 있다. 그는 “최근 우리 재단의 지원을 받은 한국 어린이가 콩쿠르에서 우승하기도 했다”고 소개하면서도 “재단의 목표는 (콩쿠르 우승이 아니라) ‘음악을 다시 위대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랑랑은 이날 최근 세계 클래식계에서 약진하고 있는 중국(계) 피아니스트들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올해만 하더라도 반 클라이번 콩쿠르(홍콩 출신의 아리스토 샴), 부소니 콩쿠르(중국의 우이판)에 이어서 최근 쇼팽 콩쿠르(중국계 미국 피아니스트 에릭 루)까지 중국 연주자들이 모두 정상에 올라 화제가 됐다. 그는 “내가 어릴 때 피아노를 배울 적에는 존경하거나 본받을 만한 연주자들이 서방 연주자들뿐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어린 연주자들이 다양한 중국 연주자를 보며 자신감을 갖고 꿈꾸는 것이 가장 큰 차이”라고 역설했다.

‘피아노북’ 2집 음반 발매한 랑랑. (c)유니버설 뮤직

최근 중국 피아니스트들의 약진에 대해 ‘랑랑 효과’라는 말도 있다. 랑랑의 국제적인 성공이 롤모델이 되어 중국 어린이들을 음악으로 이끌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는 최근 중국 연주자들의 콩쿠르 석권에 대해 “한국 피아니스트들이 국제 콩쿠르에서 1·2등을 차지하는 것을 보고 중국 연주자가 영향을 받은 것 같다”고 겸손해하면서 “아시아 연주가들이 서로에게 영감을 주고받는 것은 좋은 현상”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랑랑은 국제 콩쿠르 우승이 좋은 연주자가 되는 데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란 점도 강조했다. 그는 “콩쿠르에서 우승하면 어느 정도 수준을 증명할 수 있고, 다양한 기회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성공적인 피아니스트가 되는 것과 콩쿠르 우승은 별개”라면서 “피아니스트로서 무대에 서려면 작품에 자신만의 감성과 해석을 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장지영 선임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