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제주공항 포화 해소와 항공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2015년 11월 제2공항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당초 올해 개항이 목표였던 제2공항 사업은 현재 환경영향평가 단계가 진행 중이다. 건설 계획이 발표된 지 올해로 10년째를 맞지만, 도민사회에서는 여전히 찬반 대립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무안공항 항공기 사고와 최근 새만금 신공항 기본계획 취소 판결까지 더해지며 논쟁의 골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제2공항 발표 10년을 맞은 10일, 전국농민회총연맹 제주도연맹과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제주도연합은 성산읍 광치기 해변에서 도청까지 상여를 싣고 제주도 반바퀴를 도는 반대 행진을 벌였다.
같은 날 진보당 제주도당은 기자회견을 열어 오영훈 제주도지사에게 도민 직접투표를 제안했고, 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는 오일장 선전전과 도민 결의대회를 예고하며 백지화를 촉구하고 있다. 반면 찬성 측인 제2공항범도민추진위원회는 제2공항의 정당성과 필요성을 피력하며 조속한 추진을 요구하고 있다.
제주특별법에 따라 구성된 갈등 조정기구인 제주도사회협약위원회는 이날 ‘제주 제2공항 갈등 10년’에 대한 메시지를 통해 “제2공항 개발사업은 지난 10년간 큰 진전을 이루지 못한 채 제주 사회에 깊은 상처와 고민을 남겼다”면서 “갈등을 예방하고 해결해야 할 일차적인 책임은 국토부에 있지만, 그간 충분한 노력이 부족했던 점은 유감”이라고 밝혔다.
사회협약위는 이어 “갈등을 줄이기 위해 이제 남은 가장 중요한 절차는 환경영향평가 과정에서 환경적 쟁점을 철저히 검증하고, 10년 전 예측된 항공 수요를 재진단해 타당성을 확보하는 작업”이라고 강조했다.
환경영향평가 초안은 사계절 조사 결과를 포함해 내년 8월쯤 나올 예정이다. 제주도는 다른 지역과 달리 제주특별법에 따라 제주도환경영향평가심의위원회에서 이를 심의하고, 도의회의 동의를 거쳐야 한다. 환경영향평가 절차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찬반 시위가 격화하는 이유다.
국토부는 이날 제주도청 출입기자단과의 서면 인터뷰를 통해 “전략환경영향평가 조건부 동의에서 제시된 주요 쟁점에 대해 정밀 조사를 수행하고, 보완 방안을 적극적으로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또 “기본설계, 실시설계 등 사업 추진 단계마다 수요예측 재조사를 면밀하게 시행하고 그 과정과 결과를 제주도와 공유해 항공 수요에 대한 논란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제주 제2공항 건설사업’은 서귀포시 성산읍 일대 550만 6000㎡에 5조4532억원(1단계 사업 기준)을 투입해 활주로와 터미널 등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2010년대 초반 관광객 급증으로 제주공항이 포화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추진했지만 입지 선정의 불투명성과 환경적 위험 요소 상존, 수요 예측의 신뢰성 부족 등으로 갈등이 지속돼왔다.
여기에 지난해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항공기 조류 충돌 사고와 서울행정법원의 새만금 신공항 기본계획 취소 판결까지 더해지면서 제주 제2공항을 둘러싼 지역 내 찬반 대립은 더욱 격화하고 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