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국제공항의 재개항이 내년 3월까지 불가능해지면서 광주시가 광주공항의 국제선 임시취항을 재추진하기로 했다.
광주시는 10일 입장문을 통해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발생 1년이 돼가고 있지만, 정상화 계획이 세워지지 않아 광주·전남지역민 피해가 지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광주시는 “국토교통부가 최근 발표한 ‘2025년 동계 정기편(2025년 10월~2026년 3월) 항공 일정’에 무안공항이 제외돼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이어 광주시는 “이번 결정으로 내년 3월까지 호남권의 하늘길은 사실상 막히게 됐고 지역의 항공 접근성이 단절되는 상황이 이어지게 됐다”며 “광주·전남 시·도민의 불편은 지속되고 지역경제 전반에도 심각한 어려움이 가중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광주시는 지역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 2월부터 광주공항 임시 국제선 취항을 지속적으로 요구해왔다”면서 “국토부는 무안공항이 10월 재개항이 가능하다고 지속적으로 이야기해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 취항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고 주장했다.
광주시는 “국토부는 지금까지도 무안공항 정상화에 대한 명확한 로드맵이나 대책을 제시하지 않은 채 국제선 취항을 허용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며 “더 큰 문제는 내년 3월 이후에도 무안공항 정상화 시점을 확정할 수 없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광주시는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 취항을 즉시 재신청한다”며 “국토부는 호남권 하늘길 복원과 피해 대책 마련에 조속히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