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고양시가 건물이 없는 공간에도 주소를 부여해 시민 안전과 생활 편의를 높이는 촘촘한 주소정보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고양시는 행정안전부의 ‘주소로 안전한 나라, 주소로 편리한 나라’ 정책 기조에 맞춰 도로명주소가 없는 시설과 장소에 ‘사물주소판’과 ‘기초번호판’을 설치하고, ‘QR코드’를 결합한 스마트 위치안내 체계를 도입해 응급상황 시 신속한 위치 확인과 구조 지원이 가능해졌다고 10일 밝혔다.
시는 올해 민방위대피시설, 어린이공원, 버스정류장, 택시승강장, 비상급수시설 등 746곳에 사물주소판을 설치하고, 도로변과 공터 등 862곳에는 기초번호판을 부착했다.
또한 북한산국립공원과 호수공원 자전거길, 공릉천자전거길 등 시민들이 자주 찾는 여가공간에도 기초번호판을 설치해 야외활동 중 사고나 조난 시 신속한 위치 확인이 가능하도록 했다. 하천부지 등 지주 설치가 어려운 구간에는 바닥부착형 번호판을 시범 도입해 지형적 제약도 극복했다.
내년에는 자동심장충격기(AED), 무인민원발급기, 파크골프장, 보호수, 옥외소화전 등 629개 시설에도 사물주소를 부여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긴급상황 대응력을 한층 강화하고, 시민이 보다 안전한 도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사물주소판과 기초번호판에는 QR코드가 삽입돼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QR코드를 스캔하면 도로명주소와 지도 위치, 주변 시설 정보가 표시되며 음성안내와 112·119 문자신고 기능도 제공된다.
특히 도로변이나 공터 등 ‘주소 사각지대’에서도 정확한 위치 전달이 가능해 초기대응이 중요한 위기상황의 골든타임 확보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GPS보다 정밀도가 높아 구조 정확성과 효율성도 향상됐다.
시는 총 6만8015개의 주소정보시설을 체계적으로 관리 중이다. 도로명판 1만547개, 건물번호판 5만1027개, 기초번호판 3227개, 사물주소판 2979개가 이에 해당하며, 매년 정기조사를 통해 훼손 여부를 점검한다.
올해는 모바일 주소정보시스템(KAIS)을 활용해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사진과 정보를 입력하며 조사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였다. 점검 결과 훼손·망실된 2792곳을 즉시 교체하고, 표기 오류와 설치 불일치 등 시민 불편 요소도 개선 중이다.
시는 이번 정비를 통해 도시 미관을 개선하고, 주소정보의 정확성을 확보함으로써 소방·치안·의료 등 응급서비스의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정확한 주소정보는 시민의 안전과 편의를 뒷받침하는 핵심 인프라”라며 “지속적인 주소정보 관리로 시민이 안심할 수 있는 도시환경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고양=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