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신공항(이하 TK신공항) 건립 사업이 재원 확보 문제 때문에 답보 상태에 빠지자 사업 예정지인 대구 군위군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군위군은 주민 피해를 주장하며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를 요구했다.
9일 대구시와 군위군 등에 따르면 최근 김진열 군위군수가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행정부시장)을 만나 TK신공항 건설 지연 등으로 군민 재산권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를 요구했다. 김 군수는 TK신공항 예정지역 토지 보상 문제 우선 해결과 동군위IC∼효령 도로 확장 등 지역 현안 해결까지 요청했다.
김 군수는 “대구시가 발표한 군위군 공간개발계획의 장기화가 불가피한 상황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개발계획이 있는 지역 외에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즉시 해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대구·경북 최대 현안 사업이라고 불리는 TK신공항 사업은 대구의 군공항과 민간공항을 함께 군위 소보면·의성 비안면으로 옮기는 사업이다. 앞서 사업 추진 협의 과정에서 경북도 관할이던 군위군이 대구시로 편입됐다. 사업은 재원조달 문제 때문에 멈춰 있다. 당초 민관공동개발사업 특수목적법인(SPC) 방식을 추진하다가 한계를 느낀 대구시는 정부 공공자금관리기금 활용, 군공항 이전 국가 주도 등으로 재원 확보 전략을 수정했다.
최근 이재명 대통령이 대구 타운홀 미팅에서 정부 지원이 실현 가능하도록 적정한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지만 구체적인 방안이 언제 나올지는 정해진 것이 없다. 올해 말까지 재원 확보 방안이 정해지지 않으면 착공 등의 지연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기약이 없는 기다림에 군위군이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를 요구하고 나선 것이다. 군위군은 경북도 관할일 때도 TK신공항 개발 계획에 따른 투기 방지 등을 이유로 지역 상당부분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2020년)됐고 대구시로 편입(2023년)된 이후에도 같은 이유로 많은 지역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였다.
대구시도 고민이 깊다. 대구 타운홀 미팅 이후 정부 지원에 대한 기대감이 생겼지만 구체적인 시기는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대구시는 조만간 관련 부서 대책회의 등을 열어 해결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